MB 정부 포스코 자원외교 수사 신호탄?

입력 2018-04-19 00:05:04

권 회장 남미 리튬개발 총지휘 1,400억 투자 36억 회수 그쳐, "판단 착오" 주주총회서 사과

권오준 포스코 회장의 갑작스러운 사임은 여당과 검찰을 비롯한 수사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이명박(MB) 정부 자원외교 수사와 맞물려 내린 결정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MB 정부가 출범한 뒤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 이상득 전 의원은 자원외교 추진이라는 명분으로 남미를 시찰하고 왔고, 이후 이 전 대통령 형제와 친분이 있던 당시 정준양 포스코 회장 주도로 포스코는 남미 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들게 된다.

포스코가 추진했던 리튬개발 사업의 총지휘자는 권 회장이다. 권 회장은 당시 "염수에서 리튬을 추출할 때 통상적으로 1년이 걸리지만, 포스코는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추출시간을 8시간까지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남미 리튬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포스코가 1천400억원을 투자한 이 사업은 고작 36억원을 거둬들이는 데 그쳤다. 이에 MBC PD 수첩팀은 포스코가 리튬 사업을 진행했다던 볼리비아의 염호를 갔지만 공장 설비는 하나도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또 이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비리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포스코의 리튬개발 사업에 대한 의혹은 더 쌓이고 있는 상태라고 했다. 권 회장은 지난 3월 9일 주주총회장에서 이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 주주의 질문에 "투자 판단에 착오가 있었다"고 하며 사업 실패를 스스로 인정했다.

권 회장은 '최순실 사태' 연루 의혹으로 이미 수사를 받았으며 최근 시민단체의 고발과 언론의 자원개발 비리 의혹 제기 등으로 추가 수사 가능성이 제기됐다. 포스코와 함께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체설이 나오는 KT의 황창규 회장은 회사 임원들이 국회의원들을 불법 후원하는 데 관여한 혐의로 최근 경찰 조사를 받았다.

포스코의 에콰도르 산토스CMI 인수과정도 논란이 되고 있다. 2011년 포스코 실무진들이 인수금액을 100억원 정도로 책정했던 이 회사는 이후 무려 800억원에 인수됐다. 또 페이퍼컴퍼니로 추정되는 런던의 EPC에쿼티스를 500억원에 인수한 포스코는 5년 뒤 산토스CMI를 68억원에 팔고, EPC에쿼티스를 0원에 되팔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는 동안 포스코는 5조원가량이던 부채가 무려 29조원으로 늘고, 특히 13조에 달하던 현금보유액이 2013년 기준 1조5천억원으로 크게 줄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포스코는 'MB 자원외교'의 핵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민 혈세로 부실투자를 한 이들에 대해 법적 책임 및 처벌과 포스코 비리에 대한 특검 수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