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전대책 내놓고 뒤로는 안전조례 방해한 SK머티리얼즈

입력 2018-04-18 00:05:00

SK머티리얼즈에 대한 영주 시민들의 반감이 극도로 높아지고 있다. 잊을 만하면 가스 누출, 폭발 사고를 일으키는 SK머티리얼즈 공장이 시한폭탄처럼 느껴질 정도인데, 사고 때마다 이 회사가 한 재발 방지 약속은 매번 무색해졌다. 심지어 SK머티리얼즈가 영주시의회의 안전관리 관련 조례 제정을 교묘히 방해하는 등 이중적 행동을 보였다는 사실은 말문마저 막히게 한다.

2015년 12월 영주시의회는 '영주시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안'을 상임위에 상정했지만 조례 제정을 이뤄내지 못했다. 조례 제정 무산에는 영주상공회의소의 반대 및 시의회 항의 방문이 결정적이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 배후에 SK머티리얼즈가 있었다고 한다. SK머티리얼즈 측 인사가 영주상의를 찾아와 도움을 요청해 반대 의견서를 제출하게 됐다는 상의 관계자 전언은 귀를 의심케 한다.

영주시의회의 당시 조례안은 유해가스 제조공장 인·허가·단속 권한이 환경부에만 있을 뿐 영주시에 없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 2010년 이후 유독가스 안전사고로 수차례 인명·재산 피해를 낸 SK머티리얼즈가 주요 감시 대상이었다. 시민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조례라는 여론에 떠밀려 조례안은 1년 뒤 재상정돼 가결됐다. 하지만 화학물질 발생 기업에 대한 관리 및 감시 등 알맹이는 쏙 빠진 채였다.

SK머티리얼즈가 사고 때마다 시민들에게 사죄하고 온갖 대책회의를 열어 놓고, 뒤로 지자체의 안전 대책 감시·관리 기능 무력화를 꾀한 것은 지탄받을 일이다. 회원사 가운데 가장 많은 회비(연간 5천만원)를 납부하는 SK머티리얼즈의 입김을 외면할 수 없는 영주상의를 로비 통로로 삼은 수법도 저열해 보인다.

그런 상황에서 지난 13일 발생한 육불화텅스텐 유독가스 누출 사고는 영주지역의 들끓는 여론에 기름을 부었다. SK머티리얼즈의 이중적 행태에 대한 지역 반발은 한계 수위에 도달했다. SK머티리얼즈가 보여준 행태는 국내 굴지 대기업이라는 SK의 이름값이 아까울 정도다. 이럴 바에야 SK는 공장 문을 닫고 영주를 떠나는 게 옳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