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붕괴 등 2차 피해 방지, 지진감시 센서 플랫폼 개발
포항 지진 이후 여진이 잇따르는 가운데 경북도가 지진 관련 첫 대규모 연구개발 국비를 확보했다.
26일 경북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처음 도입해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공모한 '과학기술 기반 지역수요맞춤형 R&D 지원사업'에서 포항 지진피해 지역의 시설물 안전성 검사를 위한 '지진지역 스마트센서기반 건물안전 지능정보 플랫폼 개발' 사업이 최종 선정돼 국비 60억원(총사업비 134억원)을 확보했다.
'지역수요맞춤형 R&D 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사람중심 R&D 기조를 반영한 핵심 사업으로, 지역의 현안을 과학기술 연구개발(R&D)을 통해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지역에서 직접 기획하고 중앙정부에서 선정해 예산을 지원하는 과기정통부의 역점 사업이다.
건국 이래 가장 피해가 컸던 지난해 포항 지진 이후 지금까지 규모 2.0 이상의 여진만 99회 발생하는 등 주민들의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경북도는 다양한 지역 현안 중 포항 지진을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R&D 과제로 선정했다.
특히 지진 발생 후 건물의 기울어짐이나 붕괴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가 지속되는 문제의 해결에 과제의 중점을 두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지질'지반 조사 및 실시간 분석 ▷건물변위 센서 모듈 개발 ▷인공지능기반 재난안전 정보 전파 플랫폼 개발 등 3개 분야로 이뤄진다.
사업의 내용은 지진 피해 지역의 건물에 대해 스마트센서를 활용해 시설물의 기울기 변화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건물 붕괴 등 위험상황을 판단하고 알려주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지진으로 인한 건물붕괴 사전감지와 안전대응을 통해 2차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경북도는 첨단 스마트센서와 인공지능 개발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지역의 중소벤처기업들을 사업에 적극 참여시켜 지진 피해 대응과 관련 산업 육성을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위험도가 높고 중요한 공공시설물은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을 신속하게 실시할 예정이다.
송경창 경북도 일자리경제산업실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을 통해 계속되는 여진으로 인한 지역 주민의 불안감 해소에 노력하고,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 현안 해결과 관련 산업 육성의 성공사례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