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공항서는 리선권 등 마중, 면담서 김정은에 친서 전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끄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별사절대표단이 5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면담하고 만찬 회동을 했다. 김 위원장이 남측 인사와 만난 것은 2012년 집권 이후 처음이다. 만찬에는 수석특사인 정 실장을 비롯해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특사단 5명 전원이 참석했다.
정 실장은 면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특사단과 김 위원장의 회동 이후 공동보도문이나 합의문 도출 가능성과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상 간 회담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것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양쪽 합의나 양해하에 특사단이 뭔가 발표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방북 이틀째인 6일 일정과 관련, 그는 "일단 김 위원장과의 만남이 더는 없는 것으로 안다"며 "오늘 큰 틀에서 얘기하고, 그 지침 아래에서 내일 회담을 통해 실무적 내용을 논의하지 않을까 본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후 1시 50분쯤 특별기로 성남 서울공항을 출발했던 특사단은 오후 2시 50분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했다. 특사단은 리현 통일전선부 실장의 기내 영접을 받았고, 리선권 조국평화통일 위원장과 맹경일 통전부 부부장이 공항에 마중 나와 특사단을 맞이했다.
특사단과 리 위원장, 맹 부부장 등은 공항 귀빈실에서 10분간 환담했다. 이어 오후 3시 40분 숙소인 대동강변의 고방산 초대소에 도착해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전부장의 영접을 받았다고 김의겸 대변인은 전했다. 특사단과 김 부위원장 등은 이곳에서 15분가량 방북 일정을 협의했고,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접견과 만찬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대표단 숙소인 고방산 초대소는 고급 휴양시설로, 영접 인사'경호'숙소 준비 상황 등을 볼 때 북측이 남측 대표단 환대를 위해 많은 준비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대표단이 전해왔다고 김 대변인은 밝혔다. 특사단은 이 같은 내용을 팩스로 정부에 보내왔으며, 관련 사진은 이메일로 보내왔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