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액상화 31곳 조사…탐사 이후 복구작업 진행, 안전 우려할 수준은 아냐
포항지진 이후 액상화 의심 신고가 접수된 곳에서 동공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하 연구원)은 6일 "액상화 발생 신고지역 31개 지점을 지표투과레이더(GPR)로 조사한 결과 25개 동공이 발견됐다. 이 동공들은 지반보강 공법인 모르타르 주입을 완료해 복구했다"고 밝혔다. 31개 지점은 11'15 포항지진 이후 송도동 등 지역에서 액상화 의심 신고가 접수된 곳이다. 연구원은 이 동공에 대해 "기존 동공이 있었을 수도 있고, 모래가 분출해 발생했을 수도 있다.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려면 중장비를 동원해 땅을 파봐야 하는데, 주택 밀집지역이라 집이나 지하 매설물을 훼손할 수 있어 GPR 탐사 이후 복구작업을 진행했다. 안전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했다. 동공들은 대부분 지면에서 0~1.2m 깊이에서 확인됐다. 이 중 송도동 한 빌라 옆에선 길이 2.3m에 폭 0.3m의 동공이 나타났다. 포항 도로에서 확인된 동공과 연구원 조사에서 발견된 동공을 더하면 지진 이후 찾은 동공은 모두 75곳에 이른다.
이날 연구원은 액상화 현상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평가는 '경미한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앞으로 전문가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수립하고, 액상화 관련 기술 연구개발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했다. 액상화 관련 최종 조사결과 내용은 지난 1월 포항에서 열린 '시민대토론회'에서 발표된 조사결과와 다르지 않다.(본지 1월 20일 자 6면 보도)
연구원은 규모 5.4 지진으로 지반액상화지수(LPI)를 산정한 결과 조사대상지역 212곳 중 6곳(흥해읍 동해선 철도 주변 논'밭)에서 '매우 높음' 판정이 나온 것을 확인했다. '매우 높음'은 상세조사와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주택지역 33곳 중 송도동 주택지역 1곳이 높음 판정을 받았을 뿐, 21곳은 액상화에 관한 상세조사를 필요치 않는 '없음' 판정을, 11곳은 중요 구조물 설계 시 상세조사가 필요한 '낮음'을 받았다. '높음'은 주요 구조물 상세조사와 액상화 대책을 세워야 한다.
연구원은 포항을 '한국형 액상화 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사업'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액상화 연구를 시작할 방침이다. 연구 분야는 위험도 평가기술, 설계기준 개선, 위험지도 작성, 기존 시설물 보수보강 공법'우선순위 결정기법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연구원은 212곳의 시추 정보로 액상화 위험지도 기초가 될 분포 지도를 만들었다. 정부는 액상화를 고려해 건축물을 설계하도록 '건축구조기준' 개정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