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가상화폐 해킹 피해자 26만명 '발동동'

입력 2018-01-28 19:41:48

피해액이 580억엔(약 5천648억원)에 이르는 사상 최대 가상화폐 해킹 사건을 둘러싸고 일본에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26만 명이나 되는 피해자들은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할까 봐 발을 동동 구르고 있지만, 범인을 찾는 수사는 오리무중에 빠져 있다. 거래소 측의 부실 보안 관리 사실이 드러나며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일본의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체크는 27일 자정께 기자회견을 열고 "시스템에 공인받지 않은 외부인이 접속해 고객들이 맡겨둔 580억엔 상당의 NEM(뉴이코노미무브먼트) 코인을 가져갔다"며 가상화폐의 엔화 인출 및 거래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코인체크는 28일 이번 해킹 사건으로 인한 피해자가 26만 명에 달한다며 이들에 대한 보상액(피해액 중 거래소 보유분 등을 제외)이 460억엔(약 4천480억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피해자에 대해서는 매매 정지 시 가격과 그 후 다른 거래소의 가격 등을 참고해 보상액을 정한 뒤 자사의 자기자본 등을 재원으로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책임을 지겠다는 자세를 명확히 한 것이지만, 이 회사가 실제로 보상을 행할 수 있을 만큼 자금을 갖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본 경찰은 전날 코인체크의 담당자를 불러 도난 경위 등을 청취하는 등 수사에 착수했지만 온라인 상에서 벌어진 범죄인 만큼 범인의 행방을 쫓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고도의 기술을 가진 해커가 접속 흔적을 없애는 것은 가능한 일이라며 해킹한 사람을 특정하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한 보안회사 간부는 이 신문에 "침입 흔적이 시스템에 남아 있지 않으면 도난된 통화를 되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은 일본에서 그동안 투자 대상으로 주목받던 가상화폐에 대한 위기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가상화폐 정보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화폐의 시장 규모를 나타내는 전체 시가총액은 26일 사건이 일어난 뒤 한때 사건 전에 비해 10%나 줄었다.

시장 규모가 사건 전 61조엔에서 55조엔으로 6조엔(58조4천억원)이나 축소됐다.

한 건의 해킹 사건이 시장 전체를 뒤흔들 정도로 큰 파급을 미친 것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투자금 유입을 바탕으로 작년부터 확대일로를 걷던 가상화폐 시장이 급격히 냉각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이버 공격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 분야의 투자자들이 얼마나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금융청은 27일 자국 내 모든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회사에 시스템을 재점검하라고 주의를 환기하는 문서를 보냈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의 뒤늦은 대처라는 비판이 많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