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폭발 일산화탄소 누출 등 내부에서도 안전시스템 불신
"또 포스코? 이번에도 외주사 직원?"
포스코에서 안전사고가 빈발하자, 공장 내부 안전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또 사고 현장에서 다치거나 숨진 근로자 대부분이 외주사 소속이라는 점에서도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잇따르는 안전사고
지난 2015년 7월 파이넥스 1공장 외벽에서 가스 배관이 터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조업을 하지 않는 곳이어서 큰 피해는 없었지만 검은 연기가 한동안 치솟아 인근 주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2014년 7월 포항제철소 파이넥스 2공장 수처리 설비를 점검하다 직원 2명이 새어나온 일산화탄소를 마시고 쓰러져 병원 신세를 졌다.
그해 5월에는 2고로 안에서 가스 밸브 교체 작업 중 가스 폭발사고가 발생해 외주업체 근로자 5명 가운데 1명이 다리 골절상을 입었다. 사고는 2고로 개보수 공사 사전작업을 위해 근로자들이 고로의 가스 밸브를 교체하던 중 남아 있던 가스가 압력으로 인해 분출되면서 밸브가 튕겨 나가면서 발생했다.
또 비슷한 기간 포항제철소 3고로에서는 작업자 실수로 쇳물이 일부 넘치는 사고가 나기도 했다.
6월에는 포항제철소 내에 쌓아둔 슬래그에서 불꽃이 튀어 플라스틱 채광장과 햇볕 방지용 부직포 일부를 태우는 사고가 일어났다.
◆포스코의 안전의식 비난 거세
2013년 12월에는 파이넥스 3공장 주변 플랜트산소설비 현장에서 질소 가스에 질식돼 외주업체 직원 2명이 숨졌다. 이들은 플랜트산소설비(66m) 내 60m가량 높이에 설치된 콜드박스를 점검하다 질식사했다. 이 사고와 25일 근로자 4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고가 닮았다는 점에서 포스코의 안전의식에 대한 비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당시 포스코는 안전사고 매뉴얼을 만들어 다시는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은 "현재 정확한 사고원인이 나오지 않아 (포스코의 사고 재발방지 노력에 대한) 답변이 어렵다"며 "외부의 전문기관을 통해서라도 포스코와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해나가겠다"고 했다.
또 사망과 같은 중대사고들이 유독 하청업체 직원들에게 몰린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중대재해가 주로 하청업체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원청업체와 하청업체의 관계 개선과 원청업체의 책임을 대폭 강화하도록 하는 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고 했다.
포항제철소의 연이은 사고와 관련,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와 포스코 사내하청지회는 "연이은 사고에서 보듯이 포스코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이미 붕괴됐다"며 "포스코가 기본적인 안전조치 시행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작업 허가서를 발부했다면 25일 사고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특히 안전이 가장 강조되는 '정기 대수리' 기간 사고가 일어났다는 점에서 더욱 참담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망자의 한을 풀고 사고 재발방지를 위해서라도 의혹이 있는 부분을 모두 명백히 밝히겠다. 무엇보다 냉각탑이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주시하고, 시스템 자체의 문제인지 조작 실수인지를 면밀히 살피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김건희특검, 尹 체포영장 집행 무산…"완강 거부"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진성준 "주식시장 안무너진다"…'대주주 기준' 재검토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