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로자 임금격차 OECD 2위…상위 10% 임금 하위의 4.5배

입력 2018-01-25 00:05:00

저임금 비율은 최상위권 머물어

한국 근로자의 임금 격차가 미국을 제외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임금의 3분의 2도 받지 못하는 저임금 근로자 비율도 최상위권이었다.

24일 OECD에 따르면 2016년 상위 10%의 한국 근로자 임금소득은 하위 10%의 4.50배였다.

관련 통계 자료가 있는 OECD 회원 10개국 중 미국(5.05배)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한국의 상'하위 10% 임금 격차는 2000년 4.04배였으나 매년 확대해 2006년 5.12배까지 치솟았다.

저임금 근로자 비율도 여전히 최상위권이었다.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23.50%로 미국(24.91%)에 이어 비교 가능한 10개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은 학력'숙련도에 따라 임금이 벌어지지만 한국의 경우 가장 큰 요인은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때문"이라며 "이 외에도 경력단절여성 임금 문제 등 고질적인 불평등 요인이 얽혀 있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