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재임 기간 국가정보원 자금이 청와대로 흘러간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21일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이어 22일 '관봉' 자금 전달에 관여한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부르기로 하는 등 MB 정부의 국정원 불법자금 수수 및 '민간인 사찰 의혹 무마' 사건과 관련한 인사들을 줄소환하고 있다.
21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이날 국정원 불법자금 수수 사건과 관련해 류 전 관리관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류 전 관리관은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이 불법사찰과 관련한 증거인멸 지시의 입막음용으로 관봉을 자신에게 전달해줬다고 지목한 인물이다.
장 전 주무관은 2011년 4월 자신이 류 전 관리관에게서 관봉을 받았고, 류 전 관리관으로부터 장석명 전 비서관이 마련한 자금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앞서 국정원 자금 불법수수 혐의로 구속된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은 국정원에서 받은 5천만원을 민간인 사찰 관련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썼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뢰 혐의는 부인하면서도 입막음용 자금이 전달된 사실은 인정한 셈이다.
장 전 주무관에게 건네진 돈이 국정원 자금이었다고 김 전 비서관이 시인함에 따라 MB 정부의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은 본격적인 재수사 국면으로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을 상대로 관봉 전달 당시 경위를 파악할 방침이다.
이어 22일 오전 10시 장 전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그가 조달했다는 의혹을 받는 관봉의 출처를 캐물을 예정이다.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은 민간인인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가 블로그에 이 전 대통령을 희화화한 '쥐코' 동영상을 올렸다가 지원관실의 전방위 불법사찰을 받은 끝에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는 내용이 골자다.
검찰은 2010년 1차 수사에서 사찰이 실제로 있었음을 확인하고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 사찰 관련자 3명을 강요 및 직권남용 등 혐의로 기소했으나 그 윗선은 밝히지 못했다.
이후 장 전 주무관이 2012년 3월 불법사찰을 넘어 증거인멸 지시가 있었고 입막음용 '관봉'을 받았다고 폭로해 검찰은 재수사에 나섰다.
그러나 2차 수사에서도 검찰은 '내가 증거인멸의 몸통'이라고 자인한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을 비롯해 일부 관련자를 증거인멸 교사 혐의로 기소했을 뿐 '윗선' 등 사건 전모를 밝히는 데에는 미진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