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 인 더 게토

입력 2018-01-15 00:05:00 수정 2018-10-12 11:11:3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로큰롤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의 대표곡을 한눈에 가려내기란 매우 어렵다. 1977년 42세로 사망하기까지 20여 년간 부른 수많은 노래들이 대중의 사랑을 받았기 때문이다. 빌보드 'Hot 100' 1위에 오른 노래만도 자그마치 17곡이다. 1950~70년대를 주름잡은 스타의 음악 세계를 단지 몇몇 노래로 평가하거나 단정 짓는 것도 무리다.

그 수많은 노래 가운데 1969년 발표한 '인 더 게토'(In the Ghetto'빈민굴에서)는 엘비스의 삶에서 독특한 위상을 가진 곡이다. 드물게도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그의 첫 노래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는 이들이 많다. '눈이 흩날리는 춥고 흐린 시카고의 아침, 한 불쌍한 아이가 빈민가에서 태어났다'로 시작하는 이 곡은 가난과 좌절, 젊은이의 분노 등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울림이 꽤 크다.

'게토'는 종교나 인종적 차별로 생긴 강제 격리 구역이다. '유대인이 흑사병을 옮긴다'는 소문이 돌면서 16세기 베네치아에 유럽 최초의 게토가 생겼다. 20세기 나치의 게토는 악몽 그 자체였지만 1960년대 들어 도시 빈민가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맥 데이비스가 만든 이 노래의 원 제목도 그런 분위기와 감정을 담아낸 '악순환'(The Vicious Circle)이다. 그는 더럽고 가난한 동네 아이의 삶과 운명을 관찰자 시각에서 썼다.

가상화폐를 둘러싼 우리 사회의 갈등과 혼란을 보면서 문득 이 노래가 떠오른 것은 이 열풍 같은 소동이 단지 욕망을 넘어선 새로운 세계로의 탈출을 꿈꾼다는 점에서 서로 닮아서다. 정부의 규제 움직임에 맞서는 투자자의 거센 항변은 'People, don't you understand'(이봐요, 모르겠어요?)라는 노랫말과도 통한다. 가진 게 아무것도 없고 희망조차 보이지 않는 게토에서 누군가 내지르는 절실하고도 단호한 목소리다. '먹여 살려야 하는 입이 하나 더 느는 상황을 원치 않는 엄마의 눈물'과도 같은 절규다.

우리 사회에 가상화폐에 모든 것을 건 젊은이가 이토록 많은 것은 '흙수저'의 마지막 탈출구로 여기기 때문이다. 가상화폐에는 청년들이 생각하는 빈부 양극화나 악순환, 고착화된 계층 구조 등 게토의 세계관이 고스란히 투영돼 있다. 문제는 가상화폐가 도박이든 아니든 반드시 큰 대가가 뒤따른다는 점이다. 아무리 부정해도 가까운 미래에 맞닥뜨려야 할 불편하고도 두려운 진실이기도 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