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발생한 대형화재 현장에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한 경우가 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유민봉 의원(자유한국당'비례대표)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2017년 재산피해가 50억원 이상이거나 인명피해가 10명 이상 난 대형화재는 23건이었다.
이 중 경기 김포시 고촌읍 제일모직 물류창고(2015년), 이천시 호법면 청백FS(2016년), 대구 중구 대신동 서문시장(2016년), 경기 화성시 반송동 통탄메타폴리스(2017년), 충북 제천시 하소동 두손스포리움(2017년)은 스프링클러 설치 대상이었다.
하지만, 화재가 났을 때 스프링클러가 작동한 곳은 김포시 제일모직 물류창고, 대구 대신동 서문시장 등 2곳(40%)에 불과했다.
이들 5건의 화재로 35명이 사망하고, 54명이 다쳤다. 제천 화재를 뺀 재산피해액은 약 930억원에 달했다.
한국소방안전협회가 작성한 '주택용 간이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개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시설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경우 화재 시 사망 확률은 74%, 재산피해는 최대 3분의 2까지 줄일 수 있다.
유 의원은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시 생존율을 높이는 절대적인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관할 당국이 스프링클러 미작동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지 않는 것은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김건희특검, 尹 체포영장 집행 무산…"완강 거부"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진성준 "주식시장 안무너진다"…'대주주 기준' 재검토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