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일대에 오염물 유출 우려가 큰 퇴비 보관소가 400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방환경청과 대구경북환경보전협회가 지난해 하반기 낙동강 대구경북 구간과 7개 지천 주변의 퇴비 보관소를 점검한 결과, 전체 보관소 784곳 중 637곳(81.3%)이 퇴비를 부적정하게 보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8일 밝혔다.
퇴비 덮개를 덮지 않았거나 일부만 덮어 비가 올 때 퇴비 등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될 수 있는 퇴비 보관소가 10곳 중 8곳에 이르는 셈이다. 조사 대상은 낙동강 본류 양쪽 기슭의 500m 이내, 낙동강 7개 지천 양쪽 기슭의 200m 이내에 있는 퇴비 보관소다. 대구환경청과 환경보전협회는 2차례에 걸쳐 개선을 요청했지만, 올 들어서도 기존의 부적정 보관소 637곳 중 422곳(66.2%)이 여전히 부적정하게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환경청 관계자는 "퇴비를 방치하면 질소, 인 등 조류 영양물질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어 녹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앞으로도 수질 오염을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김건희특검, 尹 체포영장 집행 무산…"완강 거부"
조경태 "당 대표 되면 李대통령과 산업부 대구 이전 본격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