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동구 선거구 획정 지연 "결정나야 얼굴 알릴거 아냐"

입력 2017-12-04 00:05:00

정계특위 차일피일 미뤄…기초의원 선거 깜깜이 우려 "지선 이제 6개월밖에¨"

대구 북구의회의 A의원은 내년 지방선거만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 북구는 동구와 함께 선거구 조정 대상이지만 아직까지 선거구 획정이 감감무소식인 탓이다. 자신의 지역구를 찾아 한참 얼굴을 비추고 이름을 알릴 때이지만 선거구가 어떻게 바뀔지 몰라 까맣게 속만 태우고 있다. A의원은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는데 가만히 앉아 기다릴 수는 없어 얼마 전부터 지역구로 편입이 예상되는 곳을 찾아 얼굴을 비추고 있다"며 "만나 본 주민들 역시 선거구가 어떻게 조정될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워했다"고 하소연했다.

대구 북구의회와 동구의회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6'13 지방선거가 6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구의원 선거구가 아직까지도 정해지지 않아 '깜깜이 선거' 우려가 커지면서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국회의원 선거구 내에 시의원 선거구를, 시의원 선거구 내에 구의원 선거구를 획정할 수 있게 돼 있다. 지난해 총선에서 북구는 제3선거구(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무태조야동) 중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이 북구을에서 북구갑으로 넘어갔고 동구는 제3선거구(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공산동) 중 지저동과 동촌동이 동구을에서 동구갑으로 바뀌었다. 즉, 국회의원 선거구와 시의원 및 구의원 선거구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서 이들 선거구를 포함하는 북구와 동구 전체 선거구가 인구 비례를 고려해 전면 재조정돼야 한다.

하지만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이하 정개특위)가 선거구 획정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애꿎은 지방의원들만 울상을 짓고 있다. 더욱이 내년 지방의회 입성을 노리는 정치 신인들도 어느 지역 주민을 만나며 이름을 알려야 할지 몰라 전전긍긍하고 있다. 정개특위가 시의원 선거구를 획정하는 대로 대구시 자치구'군 선거구획정위원회(위원장 최상호)도 선거구 획정안을 마련하고 이를 대구시장에게 제출할 방침이지만 제출 기한인 12월 12일까지는 물론 내년 1월에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전문가들은 조속한 선거구 획정도 중요하지만 그 안에 담길 내용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채장수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선거구 획정이 늦어질수록 정치 신인이나 소수 정당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며 "특정 기득권 정당에 의해 독점된 지역의 정치적 대표성이 앞으로 어떻게 해결될 것인지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