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사업비의 20% 확보, 6개 군에 1,734억원 투자키로
경상북도가 '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도민 물 복지 실현을 위해 지방재정이 부족한 군을 대상으로 예산을 투입, 노후관 교체와 상수관망 최적화, 정수장 정비와 블록시스템 구축 등 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환경부 낙후지역 노후 상수도시설 개량을 위한 선도사업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은 올해 의성'성주'울진군 등 3개 군에 154억원을 투입한다. 내년에는 영덕'예천'울릉군을 추가해 2022년까지 6개 군에 1천73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앞으로 사업 대상 시'군과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경북도는 지방재정에 큰 부담을 주는 상수도 사업을 선순환 구조로 바꾸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끊임없이 건의했고, 그 덕분에 환경부 첫해 사업에서 전국 사업비의 20%에 해당하는 국비를 확보했다.
누수지역 공사를 먼저 시행하고 지역실정에 맞게 설계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한다. 누수감지 시스템 설치와 관망정비, 블록시스템 구축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블록시스템은 2개 이상의 수도관망을 구축해 한 곳에서 누수가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사업 시행의 효과는 지난 2010년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추진된 '강원권 5개 지자체 상수도 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에서 볼 수 있다. 당시 평균 유수율(상수도가 중간에 새지 않고 주민에게 도달하는 비율)이 42%에서 86%로 크게 상승해 지난 2015년 극심한 가뭄에도 제한급수가 필요없을 정도로 효과를 봤다.
경북도는 2022년까지 현대화 사업이 마무리되면 6개 군지역의 유수율이 평균 50~60%에서 80% 이상으로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연간 절감되는 수돗물 양은 690만여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생산 원가 기준 연간 224억원을 절약하게 된다. 수돗물 1천만t은 인구 10만 명 규모 도시에 약 1년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김진현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낡은 상수도시설 정비가 시급해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예정"이라며 "내년에는 더 많은 지역이 추가로 선정돼 물 복지와 재정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