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늘어나는 산림 일자리

입력 2017-11-10 00:05:01

겨울의 문턱 11월이다. 기온이 하루가 다르게 내려가면서 대지가 바싹 말라 곳곳에 건조지수가 높아지고 있다. '수관화'(나무의 잎과 가지가 타는 불)가 일반적인 봄철 산불과 달리 가을철 산불은 떨어진 낙엽층이 두꺼워 '지중화'(낙엽층 아래의 불씨)가 많아 진화하는데 애를 먹는다. 봄철 산불에 비해 피해 규모는 작지만 전국에서 매년 축구장 28개 면적인 20㏊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한다.

산불 발생의 가장 큰 비중은 실화다. 그 가운데 입산자 실화가 27%이고, 쓰레기나 논·밭두렁 소각이 각각 20%이다.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을 끄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나무는 열해를 입어 사람과 같이 면역력을 잃게 되어 뿌리썩음병 등 각종 산림 병해에 쉽게 노출되고, 토양미생물이 사라져 수분과 미생물의 영양분에 의지하는 나무는 고사하게 된다.

지난 2005년 이후로 임업을 주업 또는 겸업으로 하는 인구가 줄고 있지만, 임가 소득은 2013년 이후 매년 5~10%씩 증가하고 있다. 임가 소득이 조금씩 증가하는 주원인은 임업의 기계화 또는 현대화 등으로 대량생산이나 연중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조경업을 제외하고는 밤나무와 호두, 잣 등 유실수 재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국 곳곳에 특화구역이 많다. 밀양 감 특화구역, 부여·공주 밤 특화구역, 상주 곶감 특화구역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잣·두릅·취나물 등 임산물 생산과 수익도 늘고 있다.

이번 정부에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창출에도 임산물 소득과 연계된 산촌생태관광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각종 언론에서는 일자리 수를 늘리는 것보다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단기간적 또는 근시안적 일자리 제공으로 단순 실적 채우기보다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

숲은 그 수요를 충족하기에 적합한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산림청은 전국 곳곳의 기계화 영림단을 운영해 임업 기계장비를 활용한 우량 목재 수확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 양성도 시급하지만 양질의 목재가 생산되면 그 목재를 활용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한다. 생산되는 우량 목재로 친환경 캠핑 데크를 만들고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으며, 목조주택 건축가를 양성할 수도 있다.

산림청은 국유림과 연접한 낙후 산촌을 개발하기 위해 자원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산촌마을로 사람들을 불러들여 4차 산업혁명시대에 IT와 천연자원이 복합된 산촌 관광상품을 기대한다. 다만 안타깝게도 행정기관이 직접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각종 규제와 법령 테두리 안에서 이뤄져야 하는 각종 행정체계와 모든 국민에게 골고루 분배되어야 하는 부담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큰 목표 아래에서 원동력을 잃는다.

이제는 기업들이 행정기관과 함께 산촌 활성화를 위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해결책은 쉽지 않지만 먼저 행정기관이 산촌체험특구를 지정하고, 특구 내에서 산림 관련 규제들을 완화하면 기업은 치유와 체류를 할 수 있는 공간 조성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즉 민과 관이 하나가 되어 낙후 산촌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그 지역을 찾는 고객들에게 현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임산물과 로컬푸드 등을 저렴하게 공급한다면 산촌체험특구를 찾는 사람들은 더 많아지게 될 것이다. 또한 참여한 기업에게는 각종 세제 혜택을 지원하고, 기업에서 얻게 되는 세제 혜택으로 산촌체험특구에 재투자를 해 산림 일자리가 확대되는 등 그 순환체계는 더욱 커지고 단단해질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희망하는 사회 일자리 창출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