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안심연료단지를 주거지로 바꾸는 '안심뉴타운' 사업이 연탄공장 대체부지 확보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10년간 답보 상태에 빠져 있는 안심연료단지 폐쇄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늦어도 내년 3월 중 공사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공사가 눈앞에 다가왔는데도 토지 및 시설 보상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고 있다. 일부 연탄업체들이 대체부지 마련을 요구하며 토지 보상을 거부하는 바람에 안심연료단지 토지 및 시설 보상률은 81%에 머물고 있다.
대구 권역 안에 대체부지를 확보해달라는 것이 이들 업체의 요구지만 대구시는 다른 업체와의 형평성 문제 및 집단 민원 유발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안심연료단지 인근 주민들이 진폐증을 앓고 있다는 이유 등으로 이미 혐오시설 낙인이 찍힌 연탄공장을 받아줄 지역이 대구 안에는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심연료단지 내 한 아스콘업체는 인근에 있는 회사 소유 땅으로의 공장 이전을 시도했지만 동구청의 허가를 받지 못했다.
대구시는 남은 연탄업체들이 토지보상금을 이달 말까지 찾아가지 않으면 강제수용에 들어가고 필요 시 명도소송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반면, 업체들은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며 맞서고 있다. 시의 로드맵대로라면 내년 3월에 안심연료단지 완전 폐쇄가 예상되는데, 문제는 향후 대구의 연탄 자급자족 및 안정적 수급에 불안 요인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안심연료단지가 폐쇄되면 연탄 수급을 외지 생산분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데, 이는 장거리 수송에 따른 연탄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안심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위해서 안심연료단지 폐쇄는 진작에 마무리됐어야 했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연탄 수급에 차질이 생겨서도 안 된다. 대구시의 안심연료단지 재개발은 뉴타운 조성에 방점이 더 많이 찍혀 있을 뿐 연탄의 안정적 수급에는 미진한 감이 없지 않다. 경제 상황이 나쁜 대구는 서울 다음으로 연탄 사용량이 많은 도시다. 서민들의 난방 필수품인 연탄 공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시는 꼼꼼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