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남성의 47%가 비만, 20대 여성의 16%가 저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30대를 기점으로 비만율이 감소했지만 여성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했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약 1천454만 명의 체질량지수(BMI)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치가 나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1천454만 명 중 약 518만 명(35.6%)이 BMI가 25㎏/㎡ 이상인 비만 인구였다. 인구 100명 중 36명꼴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4년의 경우 전체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중 33.4%가 비만이었고, 2015년에는 34.8%, 지난해에는 35.6%로 계속 증가 추세다.
비만 양상은 남녀에 따라 차이가 났다.
남성은 10대의 비만 인구가 28.5%에 불과했지만 20대 36.7%, 30대 47.2%로 30대가 되면 비만 인구가 크게 늘었다. 30대 남성의 절반 가까이가 비만인 셈이다.
40대 이후부터는 비만율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40대 46.2%, 50대 42.2%, 60대 39.3%, 70대 이상 32.1%였다.
여성은 반대로 나이가 들수록 뚱뚱해졌다.
비만율이 19세 이하에서 19.1%였다가 20대에 12.9%로 확 줄었다. 그러다 30대 17.1%, 40대 23.5%, 50대 30%, 60대 38.7%, 70대 이상 39.4%로 비만율이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