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 논의 윤리위 조만간 개최
자유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결별 수순을 밟는다.
한국당은 조만간 윤리위원회를 열어 박 전 대통령의 징계안을 테이블에 올릴 예정이다. 이미 당 혁신위원회는 박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을 권고했고, 홍준표 대표도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도자의 가장 큰 잘못은 무능이다. 잘못이 있으면 무한 책임을 지는 것이 지도자의 참모습"이라며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징계절차가 불가피함을 시사했다.
다만, 한국당은 윤리위를 열기 전 박 전 대통령 측에 당 입장을 전달한 상태로 박 전 대통령 측의 반응을 최종적으로 확인한 뒤 징계 문제를 다룰 윤리위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8일 예정됐던 윤리위 개최는 미뤄졌다.
하지만, 당이 박 전 대통령 측에 당 입장을 전달하며 시간을 준 것 만으로도 그와의 정치적 결별은 예정된 시나리오대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홍 대표는 지난달 13일 당 혁신위가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자진 탈당 권고안'을 냈을 당시 "박 전 대통령의 1심 판결을 본 뒤 10월 중순 이후 이 문제를 공식 논의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고, 비록 1심 판결이 나지는 않았으나 이를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고 보고 이른 시일 내에 결론을 내겠다는 의지를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피력했기 때문이다.
한국당은 일단 박 전 대통령이 "모든 책임은 자신이 지겠다"고 한 만큼 스스로 당적을 정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 경우 친박계의 반발을 비롯한 내부 갈등, 당의 핵심 지지층 분열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박 전 대통령이 법정에서 '정치보복'을 언급하며 억울함 호소, 당의 자진 탈당 권유를 거부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만약 윤리위가 열려 혁신위원회의 권고안대로 '탈당 권유' 징계를 의결하면 박 전 대통령은 의결 통지를 받은 뒤 열흘 내에 탈당 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명 처분된다. 윤리위에서는 이와는 별개로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당적 정리 문제도 다룰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서'최 의원은 윤리위 안건에 오르더라도 즉각 징계로 이어지진 않을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