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희구의 시로 읽는 경상도 사투리] 생쌀로 묵어마 엄마가 일찍 죽는다

입력 2017-07-20 00:05:00

모도가 캐쌓키로

'생쌀로 묵어마 엄마가 일찍 죽는다' 카더마는,

우리 집에 엄마는

아주 오래오래 사실 끼이구마는

와그렁고 하잉끼네

우리 집에는

익은 쌀이고 생쌀이고 간에

씹어 무울 쌀이라고는

쌀이 한 토래기도

없이잉끼네

"생쌀로 묵어마 엄마가 일찍 죽는다"라는 경구(警句)는 어릴 때 참 많이도 들어온 경구다. 옛날 식량이 아주 귀했던 시절에는 쌀 한 톨도 금쪽같이 여겼다. 얼마나 쌀 한 톨이 귀했으면 '엄마가 일찍 죽는다'는 끔찍한 비유까지 끌어왔을까? 그런데 이마저 씹어 먹을 생쌀이 한 톨도 없어, 엄마가 아주 오래오래 사셨다니 아이러니치고는 너무 슬프다.

*모도가 캐쌓키로: 모두가 말하기를

*카더마는: 말하지만

*사실 끼이구마는: 살아계실 것이구마는

*와그렁고 하잉끼네: 왜 그러냐 하면

*쌀 한 토래기: 쌀 한 톨

이제부터는 경상도 사투리의 한 부분인 관용어(慣用語)를 차례차례로 펼쳐보이고자 한다. 관용어란 사전적 의미로는,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하나하나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전연 별개의 또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語句)다. 대개 격언과 비슷한 어구인데 주로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생훈(人生訓), 경구(警句)인 경우가 많다.

시집 《大邱詩誌》 제5집 〈경상도 사투리의 속살〉 편인 『개살이 똑똑 듣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