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대
지난해 국내 커피 수입량이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캡슐 커피, 콜드 브루와 로스터리 카페의 인기가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2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커피류 수입량은 15만9천t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생두(볶지 않은 커피콩)와 원두(볶은 커피콩), 인스턴트 커피, 커피 조제품(캡슐 커피'아이스 커피 큐브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런 수치는 1년 전보다 10.7% 증가한 것이며 2000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대치다.
올해 1분기(1∼3월)에도 커피류 수입량은 4만t으로 1년 전보다 7.0% 늘어나며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생두가 지난해 전체 수입의 89.7%를 차지해 가장 많이 들어왔다. 이어서 원두 6.3%, 인스턴트 커피 2.9% 순이었다.
지난해 생두 수입량은 전년보다 10.3% 늘어난 14만3천t으로 집계됐다.
생두 수입이 늘어난 것은 최근 콜드 브루, 스페셜티 커피 등 다양한 맛과 품질을 지닌 커피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로스터리 카페, 디저트 카페 등 직접 커피콩을 볶는 커피 전문점이 증가한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원두 수입도 전년보다 23.2% 증가한 1만t으로 집계됐다.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에서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한국의 가장 큰 커피류 수입국은 브라질로 전체 수입량의 20.0%를 차지했다. 베트남이 19.2%로 2위, 콜롬비아가 16.2%로 3위에 올랐다.
브라질 커피는 아라비카 품종이 인기를 끌면서 수입이 늘었다. 베트남 커피는 다른 커피와 혼합하기 위한 블렌딩용이나 인스턴트 커피 제조용으로 쓰였다.
지난해 7월 발효한 한'콜롬비아 자유무역협정(FTA) 영향으로 콜롬비아산 커피 수입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