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文 대통령 안보관 문제" 최명길 "진상조사 국익에 불리"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 3당은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고 누락' 파문과 관련해 2일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을 일제히 비판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한 덕 더빈 미국 상원의원(민주'일리노이)이 "사드 배치 비용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다"며 철수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이 협공의 도화선이 됐다.
정우택 한국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대선 과정에서 여러 차례 언급한 당시 문재인 후보의 불안한 안보관, 두려운 안보관이 현실화한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정 권한대행은 "더빈 의원이 정치적 과정과 의도에 의해서 사드 배치가 정치화하고 있는 게 아니냐고 언급했다"며 "이것이 정치쟁점화, 정치논점화하는 데 대해 굉장한 우려의 시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최명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더빈 의원은 한국에서 반대 기류가 있다는 데 대해 걱정한 것"이라며 "이 문제를 자꾸 진상조사 쪽에 초점을 맞춰서 마치 원점에서 되돌릴 수 있는 것처럼 비치는 게 국익에 아무 도움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김세연 바른정당 사무총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미국이 사드를 철수하는 사태까지 이르면 한미동맹의 심각한 훼손이 불가피하다. 현 상황은 현 정부의 한미동맹 약화 시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우려했다.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나서서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청문회를 요구하고 나선 것도 비판의 대상이 됐다.
정 권한대행은 "이제 여당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군사적 기밀과 한미동맹 관계에 균열을 가져올 게 뻔한 문제를 공개적으로 논의하자고 나오는 것 자체가 정치 과정을 겪자는 것"이라고 걱정했다. 최 대변인도 논평에서 "청문회를 할 사안이 아니라 조용히 진상조사를 해서 사태 파악을 한 다음 정부가 책임지고 수습책을 내야 한다. 군사 무기체계에 관한 정보가 청문회 과정에서 일반에 공개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 차원을 넘는 문제"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