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도 보고 못 받은 사드 추가 반입…文 대통령 진상조사 지시

입력 2017-05-30 18:44:01

국방부 반입 경위 보고 안해…환경영향평가 회피 의혹

문재인 대통령이 경북 성주에 배치된 사드 발사대 2기 외에 추가로 4기의 발사대가 비공개로 국내에 추가 반입된 사실을 보고받고 반입 경위 등을 철저하게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고 30일 오후 청와대가 발표했다. 지난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국방부를 방문한 문재인(오른쪽) 대통령을 수행하는 한민구 국방장관.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경북 성주에 배치된 사드 발사대 2기 외에 추가로 4기의 발사대가 비공개로 국내에 추가 반입된 사실을 보고받고 반입 경위 등을 철저하게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고 30일 오후 청와대가 발표했다. 지난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국방부를 방문한 문재인(오른쪽) 대통령을 수행하는 한민구 국방장관.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성주에 배치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2기 외에 추가로 4기의 발사대가 비공개로 국내에 추가 반입된 사실을 보고받고 반입 경위 등을 철저하게 조사하라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에게 지시했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3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 대통령은 정 실장으로부터 이 같은 사실을 보고받고 '매우 충격적'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문 대통령은 한민구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4기의 발사대가 이미 국내에 반입돼 있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며 "국방부는 지난 25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국내에 발사대 4기가 추가 보관돼 있다는 상황을 보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문 대통령은 어떤 경위로 4기가 추가 반입된 것인지, 반입은 누가 결정한 것인지, 왜 국민에게 공개하지 않고 새 정부에도 지금까지 보고를 누락한 것인지 등 진상을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문 대통령은 발사대 4기의 반입 사실을 비공개한 이유가 사드 부지에 대한 전략적 환경영향평가를 회피하기 위한 것 아닌가 하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를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주한미군은 지난 4월 26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에 사드 차량형 이동식 발사대 2기와 차량형 사격통제레이더, 차량형 교전통제소, 요격 미사일 등 핵심 장비를 반입했다. 당시 국방부 측은 "발사대와 사격통제레이더, 교전통제소 등의 장비가 반입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군은 이에 앞서 3월 6일 텍사스주 포트블리스 기지에 있던 사드 요격 미사일 발사대 2기를 C-17 수송기 편으로 오산기지로 옮겼다.

군 관계자들에 따르면 사드 1개 포대는 6기의 발사대로 구성되는데, 미군이 추가로 4기의 발사대를 들여온 것은 1개 포대를 완성된 편제로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