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말 한국당 전당대회說…이철우 "지역 정치 역할 고민" 강석호 "새 리더십 작업 진행"
정권을 내주고 야당으로 주저앉은 자유한국당의 가장 큰 과제는 무너진 조직을 정비하고 다시 뛰게 할 새 리더십 세우기다.
정부와 여당을 견제하기 위한 강한 야당으로서의 입지 구축 역시 중심 잡힌 리더십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한국당은 대표 등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서두르고 있다.
6월 말, 7월 초 전당대회설이 나도는 가운데 대구경북(TK)에서 당권 도전자가 나올지도 관심사다.
한국당의 터줏대감인 TK지만 형색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TK 국회의원은 25석 중 한국당이 23석을 차지했으나, 4선 의원 두 명(유승민'주호영)이 바른정당으로 갔고, 대구 유일의 3선인 조원진 의원도 대선 과정에서 한국당을 탈당해 새누리당으로 가 20석만 남았다.
통상 당권이 3선 이상의 격전장이라고 볼 때 TK에서 도전권은 대구에서는 없고, 경북에서 4선의 최경환, 3선의 이철우'김광림'강석호'김재원 의원이 전부다. 그나마 최경환 의원은 최근 정지됐던 당원권이 해제됐고, 김재원 의원은 얼마 전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에 재입성했다.
TK 의원들은 일단 대선 패배에 대한 자성이 우선이라며 당권 도전은 많은 고민 후 결정할 일이라고 한발 빼는 형국이다.
전 사무총장이면서 대선 기간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던 이철우 의원은 "아직 전당대회 날짜도 안 나왔다. 이번 선거를 통해 우리 당에도 '젊음'을 불어넣어야 한다. 인물이든, 정책이든 당의 새로운 활력소를 찾아야 하고, TK 정치권의 역할도 이참에 고민해봐야 한다"면서 "다양한 모임을 통해 TK 의원들끼리 이 같은 당의 문제와 현안을 두고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석호 의원도 "당권 도전을 고민할 때는 아닌 것 같다. 선거 패배 후 당의 변화가 절실하다는 것을 실감한 만큼 여러 논의를 거쳐 새 리더십을 세우는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차기 당권을 두고 대선 후보였던 홍준표 전 경남지사 추대론과 친박계의 역할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16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친박계는 바른정당 탈당파의 복당 문제를, 중도 성향 의원들은 친박계의 활동 재개가 시기상조임을 문제 삼아 양측간 힘겨루기가 시도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