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꾸비가 하로 죙일
놋날겉치 퍼버어쌓티이마는
지역답이 되잉끼네
씨신 듯이 그친다
구름 걷힌 파아란 하늘
한쪽 삔달에
초승 낮달이 게슴츠레한데
논삐얄마중
깨구리 우는 소리가
자글자글하다
(시집 『대구』 오성문화 2015)
*딸꾸비: 쉬지 않고 끊임없이 세차게 내리는 비. 원래말은 달구비인데 경상도 방언으로 딸꾸비란 말로 쓴다. 우리네의 어머니나 할머니들로부터 참 많이 들어온 말이다. 여기서 달구란 말은 봉분을 조성할 때 봉분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흙을 단단하게 다질 때 쓰는 기구를 말하니 결국 이처럼 단단하게 다지듯이 내리는 세찬 비란 뜻이다.
*놋날겉치: 놋날은 놋쇠의 날을 말하니 놋쇠의 날처럼 빗줄기가 날카롭다는 뜻이다.
*지역답: 저녁 무렵.
*씨신 듯이: 씻은 듯이, 말끔하게.
*삔달: 빈 곳. 구석진 곳.
*논삐얄마중: 논바닥마다.
1950년대 대구 변두리의 '비 온 뒤의 서정(抒情)이 이랬다. 대구의 생태가 온전히 보존되었을 때의 정서라 그런지 우후서경(雨後敍景)이 자못 격조가 있어 보인다. 경상도 사투리로 찾아본 비의 종류에는 딸꾸비, 야시비, 쪼랑비, 깨굼발비 등이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