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어느 인터뷰에서 나의 작가적 정신과 쓰고자 하는 작품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 일이 있었다. 난 역사극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 말했고 그러던 중 지금까지도 잊지 못할 이야기를 들었다.
그 얘기를 하기 전 내가 역사극을 쓰고자 했던 계기부터 이야기한다면, 그건 바로 '김장훈'과 '독도' 때문이었다.
가수 김장훈이 독도 지킴이로 나서며 쉼 없이 운동을 하는 모습에 뜬금없이 궁금증이 생겼다. 저 사람에게선 어떻게 저런 애국심이 나오는 것일까? 저 사람의 행위를 보며 SNS 버튼을 누르는 나의 행동도 애국인가? 왜 저 사람은 특별해 보이는 걸까? 긴 시간 동안 나는 애국심에 대해 정의할 수 없는 의문들로 혼란스러워졌다. 그러던 중 나의 조언자인 오빠와 차를 한잔하다 오빠의 한마디에 내 머릿속 가득했던 의문들이 순식간에 해결됐다.
"일본강점기에만 독립운동가가 있었던 건 아니야. 어느 시대나 존재해. 그리고 그들은 모두가 나라에 살던 사람들이었어. 국민. 국민에게서 애국심이 사라지는 순간 나라가 사라지는 거니깐!" 애국심이 사라지면 나라가 사라진다! 통쾌한 순간이었다. 특별한 사람만이 갖는 것이 아니구나! 나도 할 수 있구나! 그렇다면, 난 글로써 지키자!
원점으로 돌아가 인터뷰에서 나는 그 소신으로 나의 작품 방향성에 대해 밝혔다.
"긍정적이고 위대한 우리나라 역사를 쓰고 싶습니다. 숱한 전쟁과 식민지 현실에서도 긍지를 버리지 않고 나라를 지키려고 싸운 조상님들! 지금도 싸우는 사람들! 전 세계 어느 나라의 역사에도 밀리지 않는 위대한 업적을 가진 위대한 대한민국의 긍정적인 역사를 쓸 것입니다!"
바로 그때 지금도 잊지 못할 반론이 상대에게서 터져 나왔다. 그분의 반론은 이러했다.
"역사는 비극적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후손들이 보고 깨닫기 때문이죠! 그러니 지금껏 역사극이 부정적인 것입니다! 역사극은 긍정적이면 안 됩니다! 긍정적이면 배울 게 없으니까요!"
역사란 내 부모, 그 부모의 부모까지 이어져 만들어진 것인데 그런 역사를 비극적이고 부정적으로 써야 한다는 것인가? 작게는 나의 일생 나의 후손에게 역사로 남을 것인데 나의 긍정적 역사는 버리고 부정적 역사만을 배우고 가르치게 하란 말인가? 이 자리를 빌려 말하고 싶다. 우리의 자긍심은 밝고 건강한 과거로부터 온다. 내 부모가 자랑스러우면 나 또한 기쁘고 자부심이 생긴다. 물론 사람의 일생도 다사다난한테 나라에 태평성대만 있겠는가? 다 국난의 상황에서 지키지 못했다는 것에 빠져 나약한 국민이길 자처하지 말고 그 속에서도 지키려고 싸웠던 위대한 역사를 보며 내 뿌리에 자부심을 느끼길 바라는 것이다.
그것이 나 자신을 위대하게 만드는 첫걸음이라 믿기 때문이다.김하나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