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중심으로 선거 추진…나경원 의원·김종인 영입론도
지지율 답보 상태에 빠진 바른정당이 대통령 파면을 계기로 대대적인 쇄신책을 내놓으며 반전을 꾀하고 있다.
바른정당은 최근 탄핵 기각 시 소속 국회의원 32명이 의원직 총사퇴를 하겠다고 결의하는 배수진을 친 한편 "탄핵 인용 후 재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이어 지도부가 총사퇴하면서 그야말로 '창당 제2막'을 맞았다.
지도부 총사퇴는 자유한국당 내 탄핵 찬성파 의원들의 합류가 시작될 것을 전제로, 새 식구들에게 당직을 맡겨 '명분'과 '자리'를 고루 제공하겠다는 포석인 셈이다.
조기 대선을 목전에 둔 비상 상황이지만, 새 지도체제 구성에 대한 논의를 서두르지 않고 주호영 원내대표에게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김으로써 주말 사이 숨 고르기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바른정당은 또 대선 전까지 비상대책위원회와 같은 또 다른 절대 권력을 만들기보다는 주 원내대표가 주도하는 의원총회를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삼아 경선 관리를 완수한 뒤 곧장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결국 이들 빈자리에 어떤 사람을 채워 넣을 수 있느냐에 달렸다. 당 안팎에서는 정치적 무게감이 큰 김무성 의원이나 오세훈 전 최고위원의 차출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와 함께 바른정당 창당 과정에 협력했던 나경원 의원이나 심재철 국회부의장, 정진석 전 원내대표, 강석호 전 최고위원 등의 한국당 중진들이 합류한다면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외연 확장 차원에서 최근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해 '제3 지대 빅텐트' 물색에 나선 김종인 전 대표나, 입당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온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