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만 준비하면 될 일을 두 번씩…" 대구시 공무원들 울상

입력 2017-02-24 04:55:02

대구시와 대구지역 국회의원이 대구 현안을 두고 머리를 맞대고 협조를 구하는 당정협의회의 분산 개최로 23일 회의를 준비한 대구시 공무원들이 울상을 지었다.

회의는 시장과 국회의원이 하지만 '테이블'을 마련하고 순조롭게 회의가 진행되도록 준비하는 건 지방정부의 몫이기 때문이다. 의원 수가 늘어난 건 아니지만 예전 같으면 한 번만 차리면 될 '밥상'을 두 번이나 차려야 하는 것.

특히 지역의 핵심현안을 두고 대구시뿐 아니라 여야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고 한목소리를 내도 시원찮을 판에 대구시가 각각 따로 만나면서 어정쩡한 중간역할을 할 수밖에 없어 일의 효율성도 크게 떨어지게 된 셈이다.

의원들에게 현안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는 대구시장 입장에서도 똑같은 말을 두 번이나 해야 한다.

시간이 제한적이다 보니, 회의의 질적인 부분을 기대하기도 힘들다. 가령 4시간이 주어졌다고 했을 때 한 번이면 긴 시간 동안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나, 똑같은 내용의 회의를 대상만 달리해 두 번 하면 시간을 쪼갤 수밖에 없어 물리적 시간 자체가 줄어든다. 한곳에 모여 마음을 모아도 쉽지 않을 현안 논의를 당이 다르다고 해서 따로 개최해 과연 의지를 모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것이 공무원들의 한목소리다.

똑같은 현안이라도 자유한국당 의원들 입장과 바른정당'더불어민주당'무소속 의원의 입장이 다르면 이를 조절하기 위해 또 다른 회의를 열 수밖에 없고, 만일 의견이 다를 때 한쪽에서 '고집'을 피우면 될 일도 안될 수가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치적 입장이 다르더라도 지역 현안에 있어서는 절대로 둘이 되면 안 된다"고 아쉬워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