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후보 경선 요구 하루 만에 중앙당 독자 경선룰 최종 의결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민주당의 대통령후보 선출을 위한 규칙 의결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면서 향후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민주당이 25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대통령후보 선출을 위한 규칙을 최종 의결하면서, 유감을 표한 주자들이 당내 경선에 동참할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야권 공동후보 원샷 경선을 주장해 오던 김 의원은 "야권 승리에 기초한 공동후보를 선출하는 연립정권의 그림을 제가 제시했고 어제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성남시장과 함께 요구했다"며 "하지만 당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박 시장도 전날 "국민경선을 통한 공동후보를 뽑아야 정권 교체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민주당의 경선룰에 대해 강하게 비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김'박 두 사람의 감정이 줄어들지 않을 경우 경선 불참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예측해 볼 수 있다. 두 사람이 공동후보 경선을 요구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중앙당이 독자 경선룰을 전격 발표했고, 이에 당내 최대 계파인 문재인 전 대표가 즉각 환영 의사를 표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문 전 대표에게 뒤지는 상황에서 당을 장악한 친문 인사들이 만든 룰에 참여할 경우 들러리만 서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 때문에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당이 정식으로 공식 룰을 처리한 가운데 마냥 비판만 하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두 사람 모두 당의 방침에 유감을 표하고는 있으나, 하루 전 두 사람과 공동전선을 형성하던 이 시장도 '당 결정 존중한다'며 돌아서 버린 상태다. 여기에 안희정 충남지사도 중앙당 경선룰 확정에 환영 입장을 표하며 김'박 두 잠룡을 압박했다.
이상 기류를 감지한 김 의원도 비난 수위를 다소 낮추는 분위기다. 그는 이날 SNS를 통해 "당의 경선규칙 의결에 대한 이후 대응 방향에 대해 심사숙고 중"이라며 "당장 별도의 입장 발표는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도 별다른 의견을 내놓지 않은 채 강하게 비판하던 전날 자세와는 달랐다.
특히 두 사람이 무소속이나 제1당인 민주당 내 경선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이번 대선은 물론 차기도 바라보기 어려운 현실이라는 점에서 탈당이나 경선 불참 입장을 고수하기만은 어려워 보인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당무위에서 완전국민경선제를 골자로 한 경선룰을 처리하고 26일부터 예비후보 등록을 받는 등 본격적인 경선 일정을 시작하기로 했다. 강력한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1차 투표에서 최다 득표자의 득표율이 과반 미달 시 1, 2위 후보자를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하기로 했다.
투표는 모바일(ARS) 투표, 인터넷 투표, 순회경선 투표, 최종 현장투표 등 네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