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제한보호구역 설정돼도 15층까지 건물 지을 수 있다"

입력 2017-01-12 04:55:06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방부 고령서 공항이전 설명회

11일 고령군청 대가야홀에서 열린
11일 고령군청 대가야홀에서 열린 '대구 민'군공항 통합이전사업 소통 간담회'에 참석한 군민들이 통합공항의 고령 이전을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11일 오후 고령군청 대가야홀에서 열린 '국방부'국토교통부 통합 대구공항 이전 설명회'에는 500여 명의 고령군민들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고령군 다산면 주민 200여 명을 비롯한 대가야읍과 성산면 등 8개 읍'면 주민들은 '공항 이전 절대 반대'가 쓰인 머리띠를 매고, 피켓과 현수막 등을 들고 간담회장에 참석했다. 군민들은 간담회 도중 '공항 이전 절대 반대'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주민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공항 이전에 따른 소음피해와 군사지역 개발규제로 인한 지역발전 저해였다. 권오칠 성산면 이장협의회장은 "공항 이전 후 소음피해가 어느 지역까지 영향을 받는지 알려달라"며 "성산'다산면은 고령지역 기업체 70%가 입주해 있는데 대책은 무엇이냐"고 했다. 석현덕 다산면 이장은 "군공항 이전 시 주변이 군사제한구역으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된다. 고령에 공항 이전은 절대 반대"라고 했다.

이에 대해 김윤곤 국방부 사업정책과장은 "전투기 특성상 소음은 발생하겠지만 소음완충지역을 확보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지역 이주 및 보상 등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주민들이 반대하고, 자치단체장이 유치신청을 하지 않으면 공항은 절대 올 수 없다. 난개발을 막기 위해 군공항 이전 주변 구역이 개발제한보호구역으로 설정되지만 15층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등 각종 개발은 가능하다"고 답했다.

고령군의회는 이날 통합 대구공항 이전 결사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이영희 고령군의회 의장은 "통합 대구공항을 고령으로 이전한다면 이득보다는 손해가 훨씬 크며, 하루에 수십 차례 오르내리는 전투기 소음 탓에 주민들은 심리적 불안감으로 삶의 질이 떨어지고, 고령을 떠나는 주민이 발생한다"고 했다.

곽용환 고령군수는 "군민들의 뜻을 모아 군의회 등과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