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군 통합 이전, 여론 수렴 거쳤나

입력 2017-01-11 04:55:0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서 잇단 반대 목소리…이진훈 "졸속 추진 부작용" 강주열 "기부 대 잉여 위험"

대구공항 통합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는 대구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이진훈 수성구청장은 10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자청, 대구시가 추진 중인 대구공항과 군공항 통합이전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그는 미리 준비한 회견문을 통해 "대구시민의 여론 수렴 없는 일방적 대구공항 이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구청장은 "신공항 유치 무산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내놓은 대구공항 통합이전 방안이 우려스러울 만큼 급속도로 추진되고 있다"며 "대구공항 이전 문제만큼은 단기간에 졸속 처리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구청장은 지금의 상황을 "신공항 유치가 무산된 충격과 대통령의 강력한 지시로 인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결여된 집단 오류 상태"라고도 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공항 통합이전을 제안하자 이게 선물인지 아닌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권영진 대구시장이 섣불리 공항 이전을 추진했다"며 "최소한 여론조사 정도는 거치면서 시민들에게 의견을 물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 구청장은 소음이 심각한 K2 기지 혹은 11전투비행단만 이전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김해공항 확장안에 투입되는 정부 지원금이 3조원이 넘는다. 대구의 민심을 잡으려면 차기 대선주자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이 정도는 약속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군공항만 이전할 때는 접근성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전지 선정도 쉬워지고 토지 매입비도 크게 줄어 이전지에 지급될 인센티브도 대폭 확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강주열 하늘길 살리기 운동본부 집행위원장 역시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강 집행위원장은 "K2가 떠난 종전 부지를 개발해 사업비를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은 잘못 진행될 경우 시민에게 빚만 떠안기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며 "국비 4조원이 투입돼 사업 안정성이 확보된 김해공항 확장사업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또 "민간공항은 그대로 두고 K2만 이전하는 방안도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다"며 "대구공항은 대구 도심에 있기 때문에 지난해 승객 250만 명 돌파 및 흑자라는 성과를 거뒀다. 대구공항이 경북 어디로 이전하더라도 접근성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