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0 경북 0.7% 올라, 예년보다는 낮은 수준
올해 대구와 경북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각각 1.0%, 0.7%로 예년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1%대를 기록했다. 12월까지 4개월 연속 1%대씩 상승하면서 연중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전국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1% 올랐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4년 1.3%를 기록하고서 지난해 0.7%로 사상 최저치까지 떨어졌다가 올해 다시 1%대로 복귀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보다는 1%포인트(p) 낮다. 아울러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올해 대구와 경북의 연간 소비자물가는 각각 1.0%, 0.7% 상승했다. 이는 물가가 저점을 찍은 지난해를 제외하고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체적인 물가는 1%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먹거리 물가'는 큰 폭으로 뛰었다. 폭염 영향으로 가을 이후 배추'무 가격이 뛴 데다, 최근에는 조류인플루엔자(AI)로 계란값까지 폭등한 탓이다.
이에 따라 농축수산물 가격은 3.8% 올라 전체 물가를 0.30%p 끌어올렸다. 농축수산물의 물가상승률은 2011년 9.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식품이 상승세를 주도하면서 0.7% 올랐고, 신선식품지수도 6.5% 급등했다. 신선식품 상승률은 2010년(21.3%) 이후 6년 만에 최고였다. 대구와 경북의 신선식품 물가도 각각 9.5%, 6.2% 올랐다. 반면 저유가 기조가 유지되면서 전국의 전기'수도'가스 물가는 9.2% 하락해 전체 물가를 0.41%p 끌어내렸다.
통계청이 이날 함께 발표한 12월 전국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8월 4개월 동안 꾸준히 0%대에 머물다가 지난 9월(1.3%) 이후 1%대로 올라섰다. 10월, 11월에는 2개월 연속 1.5% 상승했다.
같은 달 대구와 경북의 소비자물가도 각각 1.5%, 1.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모두 지난 9월 이후 4개월 연속 1%대 상승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농축수산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집세, 외식비가 꾸준히 오름세를 보였다. 12월 물가 조사 시점은 계란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이어서 다음 달에 계란값 급등세가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