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박계 의원 29명이 예정대로 집단 탈당과 함께 '개혁보수신당'(가칭) 창당을 선언했다. 이로써 국회는 4당 체제로 재편됐다. 이는 1987년 제13대 대선과 다음해 13대 총선 때의 민주정의·평화민주·통일민주·신민주공화당 등 4당 체제가 1990년 '3당 합당'으로 양당 체제로 복귀한 지 26년 만이다. 이를 지켜보는 마음은 편치 않다. 4당 체제가 현재 우리나라가 맞고 있는 안보와 경제의 복합 위기를 잘 헤쳐갈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올해 4·13 총선으로 형성된 3당 체제에 국민은 '협치'를 기대했다. 여야도 그런 국민의 뜻을 받들겠다고 했다. 하지만 성적은 기대에 훨씬 못 미쳤다. 여야 대립에다 야당 간 '선명성' 경쟁이 겹치면서 '협치'는 정치적 수사(修辭)로 그쳤다. 이런 현실에 비춰보면 4당 체제가 순항할 것이라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3당 체제보다 협치 가능성은 더 낮을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온다.
이처럼 4당 체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이유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판결 이후 60일 이내에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 때문이다. 4당 모두 대통령 후보를 낸다면 차기 대선은 4당 4색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이다. 이는 대선과 무관한 국정 현안까지 대선이란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 '탄핵 정국'보다 더한 국정 혼란과 마비가 초래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런 사태가 벌어져서는 절대 안 된다. 지금 우리가 처한 대내외 환경은 매우 위중하다. 경제는 최악의 불황이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으로 미국과 중국 간 대결이 심화되고 있고, 북한은 내년에 핵탄두 모형을 탑재한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등 외교'안보 상황도 심각하다. 4당은 이런 위중한 현실을 깊이 인식하고 대립과 분열로 국가와 국민을 위기로 몰아넣는 잘못을 저지르지 말아야 한다.
4당 체제가 걱정스러운 것만도 아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본격적으로 다당제가 실시되면서, 어느 한 당이 모든 것을 결정할 수 없는 체제로 바뀌었다"며 "진정으로 국회 본연, 정치 본연의 대화와 협상의 시대가 열리고 협치가 가능해졌다"고 했다. 이 말이 말로만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