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에 놀라 탄핵으로 전격 선회…"4월 퇴진 밝혀도 탄핵 표결 참여"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가 4일 여야 합의가 없으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 표결에 참여하기로 했다.
비주류 측이 '4월 퇴진-6월 조기 대선'이란 당론을 깨고, 일단은 여야 합의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비상시국회의는 더불어 '7일 오후 6시까지' 박 대통령이 4월 퇴진에 대한 확답을 해 줄 것을 요청했던 요구도 거둬들였다.
비상시국회의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비주류 의원들과 대통령 회동설이 돈 것과 관련,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그런 요청이 없었고, 요청이 온다고 하더라도 이 만남은 적절치 않아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탄핵안 가결의 키를 쥔 새누리당 비주류가 여야 협상을 '탄핵의 핵'으로 부상시키면서, 9일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 본회의 표결 전까지 남은 시간 동안의 여야 간 협상 결과가 탄핵의 운명을 결정지을 포인트가 됐다.
그러나 이미 야 3당이 3일 새벽 탄핵 소추안을 발의한 상태고, 또한 촛불 민심을 등에 업으며 '조건 없는 탄핵 강행' 의지를 높이고 있어 여야 협상은 사실상 물 건너간 상태다.
대통령의 3차 담화 후 '대오 이탈'이 감지됐던 여권 비주류가 이날 조건부 탄핵 동참 의지를 꺼낸 건 지난 3일 232만 명(주최 측 추산)의 촛불 민심이 대통령의 '즉각 하야'로 모아진 데 따른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야 간 합의 실패, 그에 따른 비주류의 탄핵안 표결 참여가 이뤄진다고 해도 탄핵안이 가결되기까지 변수는 도사리고 있다. 비상시국회의에서 조건부 탄핵안 표결 참여 결정을 내렸으나, 과연 몇 명의 비주류가 찬성표를 던질지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탄핵안이 국회 문턱을 넘으려면 무소속을 포함해 야당의 확보 표에 새누리당에서 적어도 28표가 나와야 하나 비주류 중에서도 찬성'반대에 대해 고민하는 인사들이 적잖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