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최순실 게이트' 의혹에 대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조직적으로 대응한 정황이 포착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해당 시나리오를 다랐고, 사실상 대통령의 지시에 다라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14일 'JTBC 뉴스룸'은 "지난달 최순실 태블릿PC가 공개되기 전부터 청와대가 최순실 국정개입 사건과 관련해 수사와 언론 대응 등을 포함한 대비 문건을 만들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단독 보도했다. 이 문건은 이 문건은 구속된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의 휴대전화에 들어 있던 것으로, 정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를 압수한 검찰이 확보한 것이다.
JTBC가 최순실 태블린 PC 특종보도를 하기 일주일 전인 지난달 16~18일에 작성된 것으로 나타난 이들 문건은 각각 '미르·K스포츠재단과 비선실세에 대한 검토 의견'과 '법적 검토'라는 제목을 달고 있으며, 증거인멸 등과 관련된 내용까지 포함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서에는 최순실 국정개입 정황이 밝혀질 경우 비선실세에 대해 적극 부인하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통령이 직접 언급할 것과, 최순실 씨가 검찰 수사망을 피해 법적 책임을 면할 수 있는 방법, 증거인멸 관련 내용까지 구체적으로 담겨져 있다.
문서는 최씨의 재단 설립과 대기업 모금에 대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최씨가 자금을 용도와 다르게 썼다면 문제가 있지만 그런 정황은 없다고 본 것이다. 그러면서 기업이 따로 후원한 재단 행사비를 유용했을 때만 횡령죄가 성립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런 판단을 토대로 박 대통령의 대응 방안도 상세히 적혀 있다. 문건에는 대통령이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 어떻게 대응하라는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다. 특히 대통령과 미르, K스포츠재단, 그리고 최순실 사이의 관련성을 전면 부인하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이 문건이 작성되기 전에는 근거 없는 루머라는 식으로만 대응했지만, 문건이 작성된 뒤 공개적인 대응을 바꿔 재단 및 최순실과의 관련성을 부인하고 법적으로 문제없다며 거리두기에 나서 이 시나리오대로 행동했다.
검찰은 이 보고서가 최씨의 국정개입 사건에 대한 박 대통령의 지침서이자 청와대의 종합적인 대응 방안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문서의 형식과 표현 등으로 미뤄 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문서 작성의 경위와 작성자 등을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보도에서 손석희 앵커는 "문서에는 증거인멸을 유도하는 내용이 담겼다. 증거인멸 가능성은 이번 사건에서 매우 중요한 대목"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