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아의 세상을 비추는 스크린] 아수라

입력 2016-09-30 04:55:02

비리 형사… 악덕 시장… 독종 검사

#권력층 내부의 구조적 폭력 다뤄

#잔인함 수위 높여 생생한 현실감

#김성수 감독-정우성 다시 뭉쳐

#황정민·곽도원 섬뜩한 연기 빛나

배우 정우성은 김성수 감독과 함께할 때면 빛이 난다. '비트'(1997)와 '태양은 없다'(1998)에서 반짝이던 20대의 정우성이 19년이 지난 후 40대가 되었을 때, 이 세상은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영화는 지금 세상이 더 잔인한 지옥도가 되어 있음을 뼈아프게 보여준다.

이병헌 주연의 미스터리 액션 '런어웨이'(1995)로 데뷔하고 '비트'로 전성기를 맞이한 김성수 감독은 그간 팩션사극 '무사'(2001), 로맨틱코미디 '영어완전정복'(2003), 재난영화 '감기'(2013)로 잘 맞지 않은 옷을 입은 듯 돌고 돌았다. 그리고 김성수 감독은 자신의 장기인 하드보일드 스릴러 액션영화 원점으로 돌아왔다. 자신이 직접 쓴 각본을 연출할 때 가장 빛이 나던 김성수 감독이 정우성과 함께 의기투합하여 만들어낸 스릴러 액션영화 '아수라'는 '비트'의 에너지를 기억하던 많은 영화팬들을 설레게 한다. 

끝까지 밀고 가는 하드고어(hard gore) 액션이다. 그 지독한 장면과 결말에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많은 사람들은 주류 영화에서 이렇게까지나 타협 없이 끔찍한 현실을 보여주는 전개에 환호할 것이다. 폭력 장면의 수위가 높다. 지난 몇 년간 정치, 검찰, 언론 등 권력층의 이너서클로 형성된 구조적 폭력을 다룬 영화들이 관객의 큰 호응을 얻었다.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들고 온 신자유주의의 폐해가 다수를 옥죄며 더욱 비인간화되어가는 현실에서, 우리가 알 리 없는 권력층의 추문들이 은밀하게 바깥으로 새어 나올 때, 영화는 상상력을 더해 현실을 날카롭게 직시한다.

'아수라'는 '부당거래', '베테랑', '내부자들'처럼 권력층의 단단한 내부 연대로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적 폭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실체적 폭력이 드러나게 하기 위해 이전 영화들보다 잔인한 폭력 장면을 더 많이 배치한다. 영화에서 그리는 폭력은 빼어난 연출력을 과시하기 위해 미학적으로 배치되기보다는 현실의 끔찍함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삽입된 고통스러운 순간이다. 그리하여 더 현실감이 펄펄 살아 숨 쉰다.

강력계 형사 한도경(정우성)은 이권과 성공을 위해 각종 범죄를 저지르는 악덕시장 박성배(황정민)의 뒷일을 처리해주는 대가로 돈을 받는다. 말기 암환자인 아내의 병원비 때문에 돈이면 뭐든 하는 악인의 길로 들어서게 된 한도경의 약점을 쥔 독종 검사 김차인(곽도원)은 그를 협박하고 이용해 박성배의 범죄 혐의를 캐려 한다. 양쪽 사이에서 벗어날 길을 찾지 못하던 한도경은, 자신을 친형처럼 따르는 후배 형사 문선모(주지훈)를 박성배의 수하로 들여보낸다. 살아남기 위해 혈안이 된 나쁜 놈들 사이에서 서로 물지 않으면 물리는 지옥도가 펼쳐진다.

골목과 폐쇄 공간을 유려하게 따라가는 카메라 움직임, 빛과 어둠의 콘트라스트 효과를 강조하는 조명, 지옥도의 시각화로 설정된 변두리 재개발 도시의 오염된 경관, 적재적소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팝 음악 등이 영화 서사에 흠뻑 빠져들게 한다. 잔인한 가운데 가끔씩 유머가 터져 나오는 순간이 있으며, 멀티캐스팅 배우들의 연기 앙상블이 긴장감을 상승시킨다.

정치인의 따가리 노릇이나 하는 경찰이 영화 서사를 이끄는 주인공이다. 그의 내레이션으로 시작과 끝을 맺는 회상 구조는 할리우드 고전 '선셋대로'(1950)가 사용한 획기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잘한 악을 저지르며 불행한 처지를 연명하는 경찰의 목숨 줄을 잡고 있는 두 악당, 정치인을 잡고 승승장구하려는 검찰과 무한대의 악성을 보여주는 정치인의 대결 및 정복은 낯설지가 않다. 정치인 주변을 둘러싸고 온갖 나쁜 짓을 대신해주는 조직폭력배와 소시민들의 이야기는 남의 이야기가 아닌 듯하다.

각종 재난이 매년 발생하고도 안전에 무능한 국가 권력, 현대 민주국가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 온갖 기이한 권력형 비리, 돈에 미쳐 날뛰는 사람들. 사회 전체가 병리학적으로 피폐해져 가고 희망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 헬조선을 반영하는 고통의 폭력 이미지이다. '이러다 다 죽는다'는 섬뜩한 경고가 예사롭지 않다. 이것은 '핏빛 미학'이 아니라 '핏빛 고통'이다. 단순 오락물로 영화를 소비할 수 없는 이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