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세계 혁신대학'에 KAIST 6위…미국 밖 대학 중 1위

입력 2016-09-28 19:25:54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과학 혁신성을 평가한 세계 대학 순위에서 '톱10'에 올라 미국 외 대학 가운데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했다.

KAIST 외에도 포항공대, 서울대 등 모두 8개 대학이 100위 안에 이름을 올려 한국은 미국, 일본 다음으로 많은 대학을 순위에 진입시켰다.

로이터 통신이 28일(현지시간) 발표한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대학 톱100'에서 KAIST는 6위에 올랐다. KAIST의 순위는 지난해(10위)보다 4계단 뛰었다.

올해 평가 결과 1위의 영광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미국 스탠퍼드대에 돌아갔다.

스탠퍼드대는 휴렛팩커드, 야후, 구글 등 세계적인 IT기업의 창업자를 배출한 실리콘밸리의 요람이다.

2012년 스탠퍼드대의 자체 분석 결과 이 대학 출신이 만든 회사들의 연간 수입은 모두 2조7천억달러(약 2천957조원)로 추산됐다. 이는 구매력평가기준(PPP)으로 산출했을 때 세계 10위권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에 해당하는 규모다.

스탠퍼드대에 이어 미국의 매사추세츠공과대(MIT), 하버드대가 각각 2위, 3위를 차지했다.

1∼5위를 미국 대학이 휩쓴 가운데 미국 밖 대학으로는 KAIST가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이 11위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고 서울대(30위), 성균관대(46위)도 50위 안에 들었다.

특히 성균관대는 지난해 66위에서 순위가 20계단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연세대(55위)와 한양대(68위), 광주과학기술원(69위), 고려대(73위)도 100위 안에 들었다.

나라별로 보면 100위 내에 미국 대학이 절반에 가까운 46곳이 포진해 가장 많았다. 일본이 9곳으로 미국 다음이었고 한국과 프랑스가 각각 8곳으로 공동 3위였다.

최상위권 대학만 놓고 보면 KAIST와 포스텍이 각각 6위와 11위를 차지한 한국이 도쿄대(16위), 오사카대(21위), 교토대(29위) 등의 일본보다 앞섰다.

중국 대학으로는 칭화대(66위)와 베이징대(70위) 등 2곳만 100위 안에 자리했다.

유럽에선 벨기에의 루벤대학이 9위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