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시간만큼 어린이집을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정부의 취지와는 달리 맞춤형 보육 시행 이후 종일반만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1천 곳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종일반만 100%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맞춤형 보육 시행 전인 6월 기준 3천373곳이었지만 시행 두 달 만인 8월에는 1천116곳이 늘어 4천489곳에 달했다.
종일반만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가정어린이집이 2천454곳으로 가장 많았고 민간어린이집 1천75곳, 국공립어린이집 422곳,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 215곳, 직장어린이집 176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종일반 100%로 신규 개원한 어린이집도 24곳이나 있었다.
정 의원은 "복지부가 어린이집의 부당한 입소 거부와 퇴소 요구를 금지하기로 한 시행 규칙을 시행한다고 하지만 실효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며 "현장의 어려움을 가중하며 편법을 양산하고, 보육교사의 고용불안을 부추기는 현 제도를 즉각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