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유사시 탄도미사일로만 북한 정권에 대한 '대량응징보복'(KMPR) 작전을 수행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판단, 평양 상공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등 지휘부를 정밀타격하기 위해 F-35A 20대를 장기 소요로 추가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이 같은 입장은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할 징후가 포착되면 평양의 일정 구역을 초토화하는 KMPR 작전의 한계를 F-35A 스텔스 전투기로 메워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12일 "차기 전투기(F-35A급) 20대를 추가 확보하는 계획은 여전히 살아 있다"면서 "북한의 5차 핵실험으로 안보 환경이 급변한 만큼 F-35A 20대를 추가 구매하는 방안을 군이 장기 소요로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북한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라 기존 정밀타격 계획을 대폭 보완 중"이라고 말했다. 이런 정밀타격 계획에 F-35A를 추가 구매하는 것을 장기 소요로 군이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평양 일대가 4중의 다중 방공망 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F-35A급 스텔스 전투기가 아니면 이를 뚫을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2013년 합동참모회의에서 F-35A 60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나 가용 재원을 고려해 40대를 먼저 구매키로 최종 결정했으며, 나머지 20대는 안보 환경 변화를 고려해 추가 확보하기로 한 바 있다.
F-35A 40대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도입되어 작전 배치될 예정이다. 이 전투기는 내부 무장창에 GBU-31 JADAM 공대지 2발, AIM-120C 공대공 2발 등 미사일 4발을 탑재한다. 무장력이 약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평양 일대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고 침투해 지휘부를 타격하는 장점이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