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균제 피해 판정 기관도 '지역차별'…대구경북은 '0'

입력 2016-08-17 05:00:13

4차 판정 기관 서울·수도권에만 몰려…영남권 거주 피해자 588명 고통 가중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가습기 살균제 사고 진상 규명과 피해 구제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습기 피해 조사와 판정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 있어 지방에 사는 피해자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새누리당 정태옥 국회의원(대구 북갑)에 따르면 4차 피해자 조사 및 판정 기관으로 협의가 진행 중인 지방 병원은 충남 천안의 단국대병원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가습기 피해 판정 기관은 서울아산병원 1곳이지만 환경부는 서울'수도권 대형병원 6곳(국립중앙의료원'서울대병원'서울성모병원'삼성서울병원'분당 서울대병원'인천국제성모병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협의 중이다.

4차 피해자로 신청한 지방 거주자는 1천179명으로 전체 신청자(2천817명)의 42% 수준이다. 또 대구(169명)와 경북(109명)을 포함해 부산'경남'울산 등 영남권에도 전체의 20.8%인 588명이 살고 있지만 대구나 부산에 피해 판정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 없어 지방 피해자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또 지난 4월 국무조정 실장이 주재한 관계부처 차관회의에서 "전국으로 판정 병원을 확대하자"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환경부는 참여 예정 병원과 계약조차 하지 않았다.

정 의원은 "수도권에 피해자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해도 멀쩡한 지방 병원을 놔두고 먼 길을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지방 피해자들도 생업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인근 병원에서 검사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