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2개월만에 경선 레이스 시작…무모한 도전 극복 절반의 승리로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12일(현지시간)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지지를 공식 선언하며 민주당 대선 경선 레이스에서 하차했다.
지난해 4월 29일 민주당 소속으로 2016년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워싱턴 정치의 외곽을 맴돈 '아웃사이더' 정치인 샌더스가 대선 출마선언을 했을 때만 해도 미 워싱턴D.C 정가와 주류 언론들은 무겁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미 거물 정치인 반열에 오른 클린턴에게 무모한 도전을 하는 것으로 봤다.
여론도 주류 정치권과 언론의 시각과 궤를 달리하지 않았다. 샌더스의 출마선언 직전에 실시된 '리얼클리어 폴리틱스' 여론조사를 보면 민주당 지지자의 62%는 클린턴을 지지했다. 반면 샌더스 지지자는 고작 6%에 그쳤다. 한마디로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었다.
그러나 "나를 과소평가해선 안 될 것"이라는 출마의 변 그대로 샌더스는 무서운 저력을 발휘했다. 미국 동북부의 조그만 주 버몬트 출신의 무소속 상원의원은 경선 기간 내내 돌풍과 이변을 연출하며 클린턴을 긴장시켰다. '약점투성이'인 샌더스가 돌풍을 일으킨 원동력은 기성 워싱턴 정치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실망과 분노였다. 그는 그들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갈망을 제대로 낚아챘다.
진보적 젊은이들은 난생처음 코커스에 참여하기 위해 투표장에 몰려갔다. 가난한 페인트 판매원의 아들로 태어나 반세기 넘게 정치 노선을 바꾸지 않고, '99%를 위한 대변인'으로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의 편에 서 온 그에 열광한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 내 경제학자들은 샌더스의 경제 공약이 "비현실적"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하는 공개서한을 보냈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이자 진보적 경제학자인 폴 크루그먼도 뉴욕타임스 칼럼에서 클린턴의 손을 들어줬다. 12개 주에서 열린 '슈퍼화요일(3월 1일) 경선'을 기점으로 돌풍의 위력은 꺾였다.
특히 백인 중심의 진보 인사들과 대학생 위주의 젊은 층 마음을 붙잡는 데는 성공했지만 민주당의 핵심인 흑인의 표심을 놓쳤다는 게 그의 결정적인 패인으로 꼽힌다.
샌더스는 민주당과 미국정치에 메가톤급 파문을 낳았고, 사실상 절반 이상의 성공을 거뒀다. 클린턴은 지난주 최저임금 인상(시간당 15달러), 건강보험 개혁, 대학 무상교육 등 '샌더스 공약'을 반영한 본선 공약을 잇달아 내놓으며 샌더스에 대한 구애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샌더스는 이날 클린턴 공식 지지를 선언했다. 샌더스 측 관계자는 CNN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샌더스 공약의 80% 정도가 관철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