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을 맞아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부분은 타이어다. 빗길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낡은 타이어는 빗길에서 미끄러지기 쉽고, 제동거리가 길어져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마모 한계(노면과 맞닿는 부분인 트레드의 홈 깊이가 1.6㎜ 이하)가 초과된 타이어는 교체하는 것이 좋다. 기본적으로 타이어의 수명은 6만~7만㎞로, 그 이상 주행했을 경우 반드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수막현상 예방을 위해서는 공기압을 평소보다 10% 정도 높게 조정해둬야 한다.
비가 잦은 장마철은 차량 관리 및 운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렵고 노면이 미끄러워 위험한 데다 높은 불쾌지수로 집중력이 방해받는다. 영남이공대학 자동차과 한승철 교수가 조언한 장마철 안전운전을 위한 비법을 정리했다.
◆차에 오르기 전에=장마철을 맞아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부분은 타이어다. 빗길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선 미리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낡은 타이어는 빗길에서 미끄러지기 쉽고, 제동거리가 길어져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마모 한계(노면과 맞닿는 부분인 트레드의 홈 깊이가 1.6㎜ 이하)가 초과된 타이어는 교체하는 것이 좋다. 기본적으로 타이어의 수명은 6만~7만㎞로, 그 이상 주행했을 경우 반드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수막현상 예방을 위해서는 공기압을 평소보다 10% 정도 높게 조정해둬야 한다.
와이퍼 점검도 필수다. 일반적으로 와이퍼의 수명은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이므로 교체 시기가 됐다면 바꾸도록 한다. 와이퍼가 작동하면서 파열음이 나거나 유리에 선이 생기면 유리막 제거제, 중성제로 닦아준다. 워셔액에 든 화학성분은 와이퍼 고무날의 탄성 회복을 돕는 만큼 와이퍼를 교체하기 힘든 상황에서 임시방편으로 알아두면 유용하다. 물론 워셔액'냉각수도 미리 확인하고 보충해두도록 한다.
◆빗길 운전 때는 감속=장마철에는 차 유리창에 김이 서리는 경우가 잦다. 실내외 온도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럴 때는 실내외 온도를 맞춰주거나 에어컨 바람을 유리쪽으로 향하게 하면 된다. 김 서림 방지제를 미리 뿌려두는 것도 좋다.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신문지를 바닥에 깔아주면 습기를 없앨 수 있다.
빗길에서는 속도를 줄이는 것이 가장 안전한 운전법이다. 노면이 젖은 상태에서는 제동거리가 평소 대비 40~60%까지 증가되므로 차간 거리를 길게 잡고 감속 운전을 해야 한다. 수막현상이 발생했다면 무리하게 자동차를 조종하려고 하면 안 된다. 자동차가 직선주로를 달릴 때에는 즉시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떼 속도를 낮춘다. 그러면 속도가 떨어지면서 타이어의 접지력이 회복된다.
아울러 우천 시에는 어둡기 때문에 시야 확보를 위하여 반드시 전조등을 켜고 운행하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운행 전 등화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조도가 낮거나 고장 시에는 반드시 수리를 해야 한다. 비오는 날에는 앞차의 브레이크등을 확인하는 데 평소보다 5~6m 정도 더 거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도 일광욕 필요=각종 부품의 부식을 예방하려면 비가 오지 않는 날에 자동차를 햇빛에 말리자. 이때 차량 내부에 남아있는 습기의 배출을 위해 창문은 조금 열어두도록 한다. 우산, 비에 젖은 신발 등으로 인한 습기는 실내에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신속히 제거해 주어야 한다.
차량 에어컨에서 나는 악취도 차에서 내리기 전 5분 동안 에어컨은 끈 채 송풍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지하 주차장보다는 볕이 잘 드는 실외에 주차하는 것이 실내 구석구석 남은 수분을 말리는 데 도움이 된다. 한승철 교수는 "장마철 장거리 운전에 앞서 행선지 구간의 기상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기를 권한다"며 "갑자기 와이퍼 고무날이 떨어져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당황하지 말고 스타킹 등을 둘둘 말아서 쓰면 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