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과 K2 이전 문제는 별개, 대구시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것"

입력 2016-06-28 20:04:56

최정호 국토부 제2차관 대구 방문…"200만 도시에 대구공항 존치돼야"

"영남권 신공항 문제는 K2 이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별개의 사안입니다. 대구시의 결정에 따라 추진 방향이 결정되어진다고 봅니다."

최정호 국토교통부 제2차관이 28일 대구를 방문했다. 이날 대구행은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대구경북의 반발 기류 때문이다. 그는 이날 매일신문을 방문해 김해 신공항 확장이 정치적 배경에 따른 결정이 아니며 객관적인 용역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최 차관은 "대구는 밀양, 부산은 가덕도를 주장하다 보니 영남권 후보지가 두 곳으로만 인식됐지만 용역사에서는 제로베이스에서 후보지를 검토했고 김해신공항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미리 제3안(김해 신공항)을 언급했으면 영남권 갈등을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더 큰 혼란을 줄이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

그는 "영남권 지자체 갈등이 심한 상황에서 다른 후보지 가능성을 미리 제기했다면 더 큰 반발과 혼란을 불러왔을 것"이라며 "5월 자문단 회의 질문에서 김해공항 확장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영남권 항공 수요를 감안해 김해 신공항은 일정을 최대한 당겨 착공할 계획"이라며 "연내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당초 일정(2021년)보다 조기에 착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대구-김해 간 고속철도는 기존 경부선을 활용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차관은 "경부선을 이용해 김해공항까지 무정차로 가는 공항행 열차를 신설할 계획이며 이를 통하면 대구 시민들의 김해 신공항 접근성이 훨씬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가 인구 200만 명의 대도시인 만큼 대구공항은 계속 존치돼야 하고 K2 이전 문제는 대구시가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구 200만 명이 넘는 도시에 국제공항은 반드시 있어야 하고 공항 기본계획에도 있는 사안"이라며 "대구공항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대구시와 계속 논의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공항 백지화로 대구가 떠안게 된 K2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대구의 의사를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K2 이전은 영남권 신공항과는 다른 문제이며 대구공항과 군사공항을 함께 이전할지, 아니면 군사공항만 이전할지 대구가 의사 결정을 해야한다"며 "대구와 인접한 곳으로 이전하면 대구공항과 군사공항을 함께 이전할 수 있고 군사공항만 별도로 이전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