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긴급 관계 장관회의, 영남권 납득 대책 없었다

입력 2016-06-22 19:57:27

황 총리 "충분한 검토…합법적 결정"…'김해공항' 수용·추진 계획만 강조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 관련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었지만 영남권 5개 시도를 납득시킬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황 총리는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김해공항 확장과 관련해 "항공안전, 경제성, 접근성, 환경 등 공항입지 결정에 필요한 제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합리적 결정"이라고 밝혔다.

황 총리는 "김해 신공항은 기존 김해공항을 보강하는 게 아니라 영남권 항공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영남권의 거점 신공항을 만들어 나가는 방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영남지역 지자체와 주민들이 아쉬움은 있겠지만, 관련 지자체들이 합의한 방식에 따라 충분한 검토를 거쳐 최종 결과가 나온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결과를 수용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또 황 총리는 "정부는 김해 신공항 건설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올 하반기에 곧바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고, 내년 중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해 2021년 착공, 2026년 개항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해 신공항 건설방안은 새로운 활주로 1본과 국제여객터미널 추가 신설을 통해, 김해공항을 연간 3천800만 명(국제 2천800만명, 국내 1천만명)의 처리능력을 갖춘 공항으로 확장하는 안이다. 국토부는 김해 신공항이 영남권 거점공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도로'철도 등 연결교통망 구축 작업을 추진해 영남권의 공항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의 김해공항 접근성 강화를 위한 도로'철도 등 연결교통망 구축계획은 치밀한 사업성 검토 없이 급박하게 발표한데다 예산반영마저 불투명해 '졸속대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