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4일 싱가포르에서 국방장관 회담을 개최하는 가운데, 사드가 대구에 배치될 것이라는 외신의 보도가 나왔다.
한국과 미국이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를 이르면 내년 대구에 배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한 것이다.
일본 민영방송 TBS 계열의 JNN은 미군 관계자를 인용해 빠르면 "한국의 남부지방 대구에 설치하기로 합의했다"면서 "당시 한국군은 서울 등 수도권에 사드배치를 계획했지만 미군측이 군사적 전략지인 부산까지 방어를 할 수 있는 대구를 지목했다."고 보도했다.
JNN은 또 "주한미국은 앞으로 120명 정도의 새로운 레이다부대를 편성할 예정이며 산간지역에 사드를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도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문제를 한민구 국방장관과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시아안보회의 일정 중 하나로 4일 열릴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관련 대화를 나누겠다고 밝힌 것이다. 카터는 "사드 문제는 많은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 아니라며 이미 관련 계획이 진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우리 국방부는 "한미 공동실무단이 협의 중에 있고 부지 선정과 관련해선 현재 아무 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며 "이 보도는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심지어 한민구 국방장관까지 나서 3일 싱가포르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는 한·미 공동실무단이 마련한 건의안을 양국 정부가 승인하는 절차를 거쳐서 이뤄지게 되며, 현재 공동실무단이 신중하게 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는 한·미 양국이 똑같은 인식을 하고 있다"면서 "사드 문제는 이번 회담의 의제가 아니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우리 정부는 중국의 반대를 의식해 사드 배치를 공식화하지 않다가 지난 2월 7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로켓) 발사 이후 태도가 급변했다. 사드 배치 논의를 공식화한 뒤 3월 4일 실무협의회 구성과 운영을 위한 약정(TOR)을 체결하고 배치 장소와 운용 방법 등을 논의하기 시작한 바 있다. 특히 최근 국제사회가 대북제재에 적극 동참하면서 이에 힘입은 미국이 사드를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이 여전히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하는 걸 반대하고 있어 우리나라는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