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우상호 '자율투표 하자'…상임위원장 배분도 늦춰질 듯
제20대 국회의 시동을 걸기 위한 여야의 원 구성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국회의장을 어느 정당이 맡느냐를 두고 여야가 양보 없는 줄다리기를 벌이는 중이다. 국회법은 7일까지 첫 본회의를 열어 국회의장을 선출하고 9일까지 상임위원장 선출을 마무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지키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 여야는 총선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의장을 맡고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이 각각 부의장을 맡는 방식으로 의장단 구성에 합의하는 듯했으나 새누리당이 '의장은 여당이 맡는 것이 순리'라고 입장을 선회하면서 협상이 꼬이고 있다.
이에 의장단 구성과 연계해 처리될 상임위원장 배분도 순연될 전망이다. 함께 논의하기로 했던 상임위원회 분할'통합 논의도 늦어질 예정이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일 원내 제1당이 아닌 집권 여당 출신이 국회의장을 맡는 게 '확립된 관례'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야권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열린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새누리당이 어제부터 국회의장직을 가져가겠다고 입장을 선회했다고 한다"며 "정상적인 협상이 어렵다"고 여당의 입장 선회를 비판했다. 아울러 "새누리당이 갑작스레 입장을 바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고 맹공을 펴면서 "여당이 끝까지 버티겠다면 본회의에서 자유투표를 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새누리당을 코너로 몰았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우리 당 일부 지도부도 차라리 자율투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며 "원칙적으로 국회의장 선거는 자율투표"라고 말했다. 나아가 박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을 야당에 넘길 경우 반드시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3개 상임위원회 가운데 법제사법위원회도 야당이 맡아야 한다며 새누리당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6월 중에는 3당 사이의 합의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여야가 원 구성 협상을 차기 대선을 겨냥한 정치공세에 이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옴에 따라 원 구성은 더욱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