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문과 창문을 닫고 주방에서 요리하면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험주택 2곳, 공동주택 22곳, 단독주택 4곳, 다세대주택 4곳 등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결과 주방에서 조리할 때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이산화질소 등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스레인지 요리기구와는 관계없이 기름 등 요리재료 연소과정에서 오염물질 대부분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환경부는 분석했다.
요리재료별로 오염물질 발생량을 보면 고등어 구이를 할 때 미세먼지(PM2.5) 농도가 2천400㎍/㎥로 가장 높았다. 삼겹살 1천360㎍/㎥, 계란 후라이 1천130㎍/㎥, 볶음밥 183㎍/㎥ 등의 순이다. 대부분의 재료 종류별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대기 미세먼지의 '매우나쁨' 기준인 90㎍/㎥를 넘은 것이다.
요리 후 높아진 미세먼지 농도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면 15분 내로 평상시 수준으로 낮아졌다. 미세먼지 발생량이 높은 구이, 튀김 요리는 환기 후 15분, 비교적 발생량이 낮은 볶음, 끓임 요리는 10분 내에 미세먼지 농도가 90% 이상 감소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는 반드시 창문을 열고 주방 환풍기를 작동시켜야 한다"며 "평소에 수시로 주방 환풍기의 청결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