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들은 일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직장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와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지난달 34세 미만 청년 구직자 1천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좋은 일자리조건' 설문조사 결과, 청년구직자들은 좋은 일·직장으로 '일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49.7%)을 최고의 가치로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좋은 직장 동료와 선배를 만날 수 있는 곳'(16.8%)과 '개인의 노력으로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곳'(16.2%)이란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의외로 '남들이 선망하는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곳'(8.6%)이나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곳'(7.9%) 등은 응답률이 10%대를 밑돌았다.
취업하고 싶은 직장(복수응답 가능)으로는 '직원 복지혜택이 많은 회사'(59.4%)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아 1위로 선정됐다. 또 '고용안정성이 높은 회사'(46.5%), '야근과 휴가 사용이 자유로운 근무여건이 좋은 회사'(43.9%), '연봉이 높은 회사'(32.1%) 등의 순이었다.
반면 '규모가 크고 유명한 회사'라는 답변은 6.1%로 가장 낮았다.
좋은 회사를 판단하는 기준에는 직원 복지제도 혜택(68.1%)이라는 응답(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연간매출액 규모(46.8%)와 채용공고(30.4%), 회사위치(29.3%), 회사 누리집 활성화 정도(25.0%) 등의 정보도 참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로 취업을 준비하는 장소는 집(50.2%)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도서관(19.3%)과 카페(11.4%), 학교(9.2%) 순이었다.
취업준비 중인 청년들에게 큰 문제(복수응답)는 '우울증 등 불합격으로 인한 자신감 하락'(44.5%)과 '정규직 채용은 줄고 비정규직 채용이 늘어나는 경우'(40.0%)가 고민거리로 나타났다. 또 '취업정보 부재'(32.5%)와 '취업준비 비용'(32.1%), '어디가 좋은 회사인지 모르겠다는 고민'(23.6%)이라는 답변도 있었다.
취업까지 걸리는 기간은 6개월~1년이라는 응답자가 39.6%로 가장 많았고 6개월 미만은 33.5%였다.
웹과 모바일을 통해 진행된 이번 조사는 성별로는 남성 32.0%, 여성 68.0%를 차지했으며, 연령별 응답자 분포는 20대가 73.1%, 30대가 26.9%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