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안산 단원고등학교에서 농성 중인 세월호 유가족을 방문해 희생학생 제적처리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12일 낮 12시10분께 단원고를 찾은 이 교육감은 학교 현관에서 농성 중인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마음에 큰 상처드리게 돼 깊이 사죄한다.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라고 사과했다.
그는 이어 "세월호 희생학생들의 학적에 대해서는 미리 점검했어야 하는데 미처 파악하지 못했다"며 "약속드린대로 제적처리를 취소하고 학적을 복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교육감은 사흘 안에 이 같은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유가족들에게 약속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세월호 희생학생 246명이 제적처리 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자, 지난 11일 제적처리를 취소하고 학적복원을 위한 행정절차를 추진키로 했다.
같은 날 단원고와 경기도교육청 등 관계자 6명은 유가족들을 찾아 공식 사과했다.
그러나 유가족들은 "진정성 없는 사과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 교육감에게 공문을 보내 직접 방문해 대화할 것을 요구했다.
유가족들은 공문에서 "경기도교육청의 수장인 이 교육감이 유가족들을 직접 만나서 제적처리 사태에 대해 이야기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협약식 이전부터 (이사용) 포장재를 들인 단원고의 행태, 기억교실 난입으로 물품을 옮기고 훼손한 행위에 대해서도 대화하고 싶다"고 전했다.
이 교육감은 이를 받아들여 사과 방문에 나섰지만, 유가족들은 "학교와 교육청이 유가족을 기만하고 협약식을 했다"며 또다시 반발했다.
한 유가족은 "아이들 모두를 제적처리 한 사실에 대해 교육감도, 학교장도 몰랐다고만 하면 어떻게 하느냐"며 "(기억교실 이전 문제의 사회적 합의를 담은) 협약식은 유가족들을 기만한 것이다. 협약을 이행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교육감의 사과 내내 유가족들은 "책임을 지려면 사퇴하라", "유가족들이 모를 줄 알았느냐", "단원고 교장·교감을 교체하라"는 등 질타했다.
이 교육감은 "지난 9일 협약식은 세월호 참사 이후 7개 기관·단체가 모여 이뤄낸 첫 사회적 합의다. 협약은 협약대로 진행해야 한다"며 "여러분이 넓은 마음으로 이해를 해 주셔서 협약이 잘 이뤄졌다. 앞으로 모든 협약사항이 잘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또 "경기도 내 학교가 2천500개에 달하지만, 단원고는 특별하기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큰 불상사가 일어난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교육감은 다른 일정을 이유로 유가족들과 30분 가량 대화를 나눈 뒤 단원고를 떠났으며, 유가족들은 "단원고(기억교실)를 보존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단원고 정문에서는 일부 시민들이 이 교육감을 막아선 채 항의하는 소동도 빚어졌다.
4·16가족협의회 관계자는 "이 교육감의 사과에 대한 공식 입장은 정리되는대로 말씀드리겠다"며 "농성을 풀지는 유가족 회의를 통해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단원고는 지난 2월 29일 세월호 참사 희생학생 246명 전원에 대해 지난 1월 12일자로 제적처리했다.
지난 9일 기억교실 이전 문제의 사회적 합의를 담은 '4·16 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식'이 끝난 뒤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가족들은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유가족들은 법적 대응 방침과 함께 기억교실 이전을 포함한 협약 이행 논의를 중단하겠다고 밝히고, 단원고 현관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