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플라스틱과 바스프가 공동으로 설립한 합작사 코오롱바스프이노폼이 27일 김천에서 폴리옥시메틸렌(POM) 생산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신설되는 공장은 2018년 하반기부터 연간 7만t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OM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기존 생산시설과 합쳐 단일 사이트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연 15만t의 POM을 생산하게 된다.
POM은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소재로 세계 수요의 42%가 자동차의 주요 부품 소재로 쓰이고 있다. 차량용 연료펌프, 도어 잠금장치 및 안전벨트 등이 해당된다.
특히 세계적으로 연비 규제 및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차량 경량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기에 금속과 동등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그보단 훨씬 가벼운 고품질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발과 생산에 전 세계 화학업체들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POM은 높은 압력과 고온 등 생산 공정이 까다로워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미국 셀라니스, 독일 바스프, 미국 듀폰, 일본 미쓰비시 등 선진국의 소수 기업들만이 독자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합작은 국내 기업인 코오롱플라스틱이 기술료를 받고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가 있다. 세계 메이저급 완성차 업체들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는 바스프가 코오롱플라스틱을 합작 파트너로 선정한 것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효율성을 높인 코오롱플라스틱의 기술력을 인정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