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당 문제 해결되면 역할 마다하지 않아, 친박이 책임지는 모습이 당 정비의 출발"
주호영 무소속 대구 수성을 당선자는 새누리당 일각에서 복당을 전제로 자신이 원내대표 후보로 거론되는 것과 관련, "당 밖에 있는 사람으로서 생각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했다.
주 당선자는 18일 "복당 문제가 해결되면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그럴 생각을 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 그러나 향후 어떤 역할이 주어지면 마다하지는 않겠다"고 밝혀 복당 이후 4선에 걸맞는 정치적 역할을 해나갈 것임을 예고했다. 그는 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정보위원장, 공무원연금개혁특별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18대 국회에서는 원내수석부대표를 맡았다.
주 당선자의 이같은 신중한 자세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 주변에서는 주 당선자가 5월 초 이전에 복당을 할 경우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총선에서 흔들린 새누리당 지지 기반 복원을 위한 구원투수로 그가 적격이라는 이유에서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원내대표나 차기 지도부에 TK 몫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 대해 주 당선자는 이유야 어찌됐든 지금은 자신이 '새누리당의 밖에 있다'며 선을 분명하게 그었다. 물론 주 당선자도 "다음 대선에서는 대구와 부산이 관건"이라며 "정통 보수 텃밭인 대구에서 야당세가 커지는 것을 막지 못하면 다음 대선을 장담 못한다" 고 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 의원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강조했다.
주 당선자는 이어 원유철 비대위 체제 출범을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 "원유철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 대해 무감각하고,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발상이다. '불난 집에 못 줍는다'는 말이 있는데 중요한 것 다 타고 난 뒤 자리 놓고 싸우는 모습이 그 꼴이다. 사심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박계가 분명하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당 정비의 출발점이라고 했다. 주 당선자는 "외부의 명망 있는 인사를 비대위원장으로 모셔와 완전히 밑바닥에서 당을 정비해 나가야 한다"며 "그게 어렵다면 새로 선출될 원내대표가 총선 패배 후유증을 앓고 있는 당을 수습하는데 앞장서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